▲ ‘제1263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가운데 추모제에 참석한 여러 시민이 헌화하고 있다. 이날은 한일 위안부 합의 1주년이자 2016년 마지막 수요일로 고인이 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추모하는 수요시위가 진행됐다. ⓒ천지일보(뉴스천지)

한일 위안부 합의 무효 주장
피해자 추모제 형식으로 진행
정부, 공식 논평 없이 지나가

[천지일보=김민아 기자] 한일 양국 정부 간 일본군 ‘위안부’ 합의가 1년을 맞았지만,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영하의 추운 날씨에도 길거리에 나와 ‘합의 무효’를 외쳤다.

한일 위안부 합의 1주년이자 2016년 마지막 수요일인 28일 서울 종로구 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 1263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에서 김복동 할머니(90)는 “사죄도 배상도 아닌 위로금을 받는 게 말이 되느냐”며 “대통령을 믿은 것이 우리 불찰이다. 일본이 진실로 사죄하고 배상할 때까지 끝까지 같이 싸우자”고 말했다.

이날 집회는 12.28 한일 합의 규탄과 동시에 올해 별세한 피해 할머니들을 추모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정대협은 무대 앞쪽에 고인 영정을 놓고 그 앞에 촛불을 켜고 헌화했다.

정대협에 따르면 올해 별세한 피해자는 최옥이·김도은·공점엽·이수단·유희남·박숙이·김모 할머니 등 총 7명으로, 현존하는 피해자는 39명이다.

이날 집회에는 시민 700명(경찰추산)도 동참했다. 추운 날씨에도 시민들은 핫팩 등으로 몸을 녹이며 끝까지 자리에 함께했다. 이들은 ‘잊지 않겠습니다’ ‘소녀상은 언제나 이 자리에’ ‘나비가 자유로운 그날까지’ 등의 문구와 함께 나비를 단 피켓을 들기도 했다.

정대협은 “12.28 한일 위안부 합의는 잔혹한 2차 가해”라며 “피해자들과 시민들은 이때문에 전에 없던 아픔과 슬픔 속에 한 해를 보냈다. 2016년은 위안부 문제 역사에 있어서 최악의 해였다”고 비판했다.

이어 “아베 총리는 지금까지도 자신의 입으로 사과와 반성을 언급한 적이 없다. 박근혜 정부 역시 아베 정부의 최대의 원군이었다”며 “정부는 화해치유재단을 해체하고 한일 위안부 합의를 즉각 폐기하라”고 강조했다.

이명숙 해남나비 대표는 추모사를 통해 “할머니들의 단 하나의 소원인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받지 못한 채 일곱 분이 세상을 떠나셨다”며 “공식 사과 없인 진정한 추모식이 될 수 없다. 할머니들의 소원을 우리가 꼭 이뤄드리자”고 호소했다.

합의 무효를 주장하는 피해 할머니들은 일본정부를 상대로 한 법적 대응도 계속된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은 지난 27일 생존 피해 할머니 11명과 이미 세상을 떠난 피해자 5명의 유족이 한일합의 1년을 맞아 일본정부를 상대로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해 서울중앙지법에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낸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지난 27일 정례 브리핑 때 밝힌 입장 외에 추가로 입장을 발표하지 않았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화해·치유재단(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을 중심으로 피해자 존엄 회복과 상처 치유가 조속히 이뤄지도록 계속 최선의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