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박완희 기자] 중국 한대(漢代)의 ‘방언(方言)’에 의하면, 이(餌)에는 고(糕, 가루떡·시루떡)와 자(餈, 인절미·흰떡)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떡이 우리나라에 언제부터 전해졌는지는 정확히 확인 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미 중국과 더불어 쌀농사를 행했음으로 한대부터 떡이 존재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밀은 우리나라에서 중국을 통해 들여오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귀한 곡식이었다. 이에 밀가루 대신 쌀가루를 사용해 떡을 만들게 됐는데, 이를 병(餠)이라고 불렀다. 그리하여 밀가루 대신 멥쌀가루를 재료로 만들게 된 것이 ‘가래떡’인 것이다.

가래떡은 섣달 그믐날 수명장수와 농작물의 풍요를 맡아 주관하는 신(神)인 세신(歲神)에게 올릴 음식으로 사용됐다. 이때 가래떡뿐만 아니라 세신에게 올렸던 육류 등을 하나의 냄비에 담아 끓여, 식구가 모두 나눠 먹음으로써 복을 받고자 했다. 이것은 오늘날 설날에 떡국 먹는 풍습의 유래였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가래떡은 흰떡가락이 희고 길어 순수·장수(長壽)를 의미하므로 새해의 첫 음식으로 삼은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이 있다.

설날 아침에는 떡국을 끓여 먼저 조상신께 예축의례의 하나로 올리고, 식구들은 신께 올렸던 병탕(餠湯)인 떡국을 나눠 먹었다. 조선왕조에서도 섣달 그믐날 돌아오는 해의 맹춘(孟春) 대길(大吉)을 기원하기 위해 떡국을 차리고 납향대제를 치렀다고 한다. 그러면서 만물의 영(靈)을 불러 모아 은혜에 감사하며, 양기가 신장하는 대길을 축하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