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지난 10일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실업률이 올해 들어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청년취업은 여전히 어려운 게 현실이다. 청년들이 안정적인 직장으로 꼽는 공무원이 되기 위한 채용 시험이 올해 상반기 중에 거의 끝이 났고, 경쟁률도 상당히 높았다. 국가직 9급 공채시험에 16만 4133명이 응시해 평균 39.8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지난달 원서접수를 마감한 하반기 경찰공무원(순경) 공채시험에서도 사상 가장 높은 30.6대 1의 경쟁률을 보였으니 갈수록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직 진출은 바늘구멍처럼 좁다.

정부에서는 7월 청년실업률 9.2%는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치라 하지만 청년실업자 수가 100만명을 넘는 실정이다. 대학 졸업 후에도 취직하지 못해 장기간 취업 준비에 매달리는 것은 청년 개인적 문제에 앞서 국가적 입장에서도 인적자원의 손해가 아닐 수 없다. 그로 인해 정부가 청년 실업난 해소를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펴고 대처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방법은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과 협력해서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확보하는 길밖에는 달리 방도가 없다.

공공부문의 청년 취업정책의 하나인 공무원 채용시험이 상반기에 거의 종료되고 하반기는 주로 기업에서 신입사원을 뽑게 된다.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들이 이달 말부터 2016년 하반기 신입사원 공채를 발표했다. 취업 준비 청년층들에게는 올해 마지막 기회가 될 테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마지막 남은 취업 관문이 좁으니 청년실업자들의 취업난방지에는 한계가 따르고 있다. 올해 초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100인 이상 기업(336개)을 대상으로 2016년 신입사원 채용 전망 조사 결과 신규인력 규모는 작년보다 4.4% 감소가 예상되고 있다.

그런 사정에서 정부와 지자체가 효과적인 청년 취업 정책을 위해 적극 협력해야 하지만 엇박자를 보이고 있다. 서울시는 ‘청년활동 지원 사업(청년수당)’이라는 명목으로 대상자 3000명 중 2831명에게 첫 달 활동비조로 50만원을 지급한 것에 대해 정부가 법 위반이라며 반대에 나선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서울시 청년수당 정책에 대해 시정명령을 통보하고 직권취소 결정을 내린 가운데 이번에는 고용노동부에서 적극 취업 준비 청년들을 위해 60만원 수당 지급한다는 정책을 내놓았는바 청년취업정책이 갈지(之)자 행보다.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갈등하고 대립할 것이 아니라 청년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 근본 대책을 세우고 서로 협력해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