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복을 입은 아이들이 차례상 앞에서 절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사는 ‘우상숭배’ 아닌 나를 있게 한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는 것

대한민국 최대의 명절로는 설날과 추석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민족 대명절인 설날과 추석에서 꼭 빠지지 않는 것이 ‘제사’다. 하지만 근래 들어 특정 종교에 의해 배척당하고 있는 부분도 있어 명절 때만 되면 종교때문에 다른 가족이나 친척들과 불편한 관계에 놓이기도 한다. 이에 한국 전통문화인 제사의 뜻과 그 유래 및 변천사를 살펴보고 제사의 진정한 의미를 되짚어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제사란 무엇인가
제사(祭祀)의 사전적 의미는 신령 또는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차려놓고 정성을 표하는 예절을 뜻한다. 이처럼 오늘날의 제사는 조상의 넋을 기리고 그 은혜에 보답하고자 후손들이 마음을 다해 지내는 전통문화로 자리 잡았다.

예서(禮書)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제례는 ▲사당제 ▲사시제 ▲이제 ▲기일제 ▲묘제가 있는데 이 중 가장 관행된 제례는 ▲차례(茶禮) ▲기제(忌祭) ▲시제(時祭)로 나누고 있다. 그 중 시제는 묘사로, 차례는 성묘로 그 형태가 바뀌게 됐다.

조상의 넋을 기리고 정성을 표하는 제사에 참석하는 사람은 고인의 직계 자손으로 하며, 가까운 친척도 참석한다. 그렇다면 제사는 어떻게 생기게 됐을까. 제사의 기원은 샤머니즘·조상숭배·자연숭배라는 말과 굉장히 연관이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원시시대 사람들이 천재지변의 재앙 속에서 점차 사계절에 순응해야만 생존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되면서 모든 자연물에 신령이 깃들어 있다고 믿게 된 것이 근원이 된 것이다.

당시 사람들은 신(神)의 가호로 재앙을 피하고 안락한 생활을 기원키 위해 천지신명께 정성을 올리기 시작했고 이러한 의식이 제사 행위의 근원이 됐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본래의 의미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그동안 자연신에 대해 드려졌던 기존 제사의 의미가 삼국시대 이후부터는 자신의 조상을 기리기 위한 의미로 바뀐다. 먼저 삼국시대의 제사의례는 중국문물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변화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고려 말에는 성리학이 도입됨으로써 ‘주자가례’가 사회적 관습으로 정착됐지만 조선시대 초기에는 불교의례 전통이 만연해 이 같은 유교의례가 사회 전반적으로 보급되지 못했다. 16세기 중엽부터는 ‘주자가례’가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4대조까지 제사를 지내게 됐고, 이것이 오늘날 우리의 전통으로 이어져오게 됐다. 이로 인해 제사는 막연한 자연의 신(神)에게 호소하고 간구하는 차원을 벗어나 자신의 조상을 받들기 위한 의식의 전환점을 맞게 됐다.

◆왜 기독교는 제사를 거부할까?
그렇다면 자신의 조상을 기리고, 자신이 존재할 수 있도록 은혜를 베푼 조상에게 감사하는 의미에서 후손으로서 드려야 할 제사가 왜 유독 기독교인들에게는 배척당하고 있는 것인가.

기독교는 제사가 우상에게 절하는 의식으로 간주된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인들이 제사를 지내지 않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주된 이유로 십계명에서 말하는 ‘우상에게 절하지 말라’는 내용과 계시록에 기록돼 있는 ‘우상의 제물을 먹으면 안 된다’는 내용을 지키기 위해서다.

또한 이와 같은 이유로 기독교인들은 제사상에 올라온 제사음식 또한 먹지 않는다. 이는 성경에서 말하는 우상은 곧 하나님의 신(神)이 아닌 사단의 표상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제사음식은 우상의 제물로서 귀신(마귀, 사단)이 먹은 음식이라는 생각이 강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한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우리나라 전통문화인 제사가 과연 귀신(마귀, 사단)에게 하는 것이며, 제사상에 올려진 음식이 과연 귀신(마귀, 사단)이 먹은 음식이라고 단정지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다.

◆영으로 예수님 영접토록 기도
우리가 이 세상에 태어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부모님의 은혜요, 또한 부모님도 조상님들의 은혜가 없었던들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렇게 사람들은 누구나 조상님들로 말미암아 ‘나’라는 존재가 지구상에 탄생될 수 있었던 오묘한 이치를 거부할 수는 없다.

제사를 지내는 것은 바로 이러한 조상님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지내는 것이며 제사를 통해 후손들의 안녕을 바라기 위해 지내는 한국의 전통문화인 것이다. 그렇기에 이런 전통문화가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조상을 귀신(사단, 마귀)으로 간주할 수 있을지 성경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제사는 앞서 말한 대로 자신이 세상에 태어날 수 있게 연결된 조상님들께 감사를 표하고 예를 갖추는 문화로서 옛날 주술적인 의미를 벗어난 것임을 알 수 있다.

성경말씀에는 베드로전서 3장 19절에 “저(예수님)가 영으로 옥에 있는 영들에게 전파하시니라”라는 말씀도 있고, 베드로전서 4장 6절에는 “죽은 자들에게도 복음이 전파되었으니”라는 부분이 나온다. 예수님도 죽은 자들을 모두 귀신으로 여긴 것이 아니라 복음을 전파할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또한 육은 한번 죽으면 영원히 돌아올 수 없지만, 영은 영원불멸이므로 죽음이 없다. 다만 영이므로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우리 눈으로 볼 수 없을 뿐이다. 조상을 기리기 위한 마음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을 반기독교적인 행위로만 간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론 조상을 위해 지내는 제사라도 그 의미가 감사하는 마음을 표하는 것을 떠나 복을 비는 기복신앙으로써의 의미가 강해져 신앙의 대상이 된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감사의 마음을 표하는 것이라면 너무 형식에 얽매이는 것도 좋은 모습만은 아니다.

여기에 더해 하나님을 믿는 기독교인이라면, 하나님을 접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조상들이 영으로나마 예수님께서 전하시는 복음을 듣고 그 영이 구원받기를 기도하는 것이 당연한 도리일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