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부터 4.13총선 선거운동 기간이 도래되고 정당과 후보자들은 치열하게 총선레이스를 펼치며 선거판을 후끈 달구고 있다. 선거운동 전반기가 지나고 중반기에 접어든 이 시점까지 보여준 정당들의 선거운동 특징은 정책선거가 사라지고 자당의 이익을 위한 전략에 치중했다는 평가다. 새누리당에서는 공천 악수(惡手)와 당내 불협화음을 떨쳐내려 안간힘을 쓰고 있고, 야권 가운데 특히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단일화 타령으로 선거기간 초기를 보냈다.

‘1여 다야’ 경쟁 구도로서는 아무래도 불리한 상황이라 야권에서 들고 나올 수 있는 전략이 야권연대다. 그렇더라도 야권 3당의 입장이 제각기 다르다보니 쉽사리 성사될 리 만무했다. 각 정당이 이미 예상한 대로 선거 초반 형세가 전국 253개 지역구 중 거의 반을 차지하고 있는 수도권에서 안개 속 판세로 이어지자 더민주당은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기 전인 4월 4일까지 야권이 단일화돼야 한다고 선수를 쳤다. 하지만 국민의당에서는 더민주당이 진정성을 보이지 않는다며 단일화를 거부했고 정의당도 받아들이지 못한 채 당대당 연대는 미완이 됐다.

지난 19대 총선에서 더민주당(당시 민주통합당)은 통합민주당(후에 통합진보당과 정의당으로 분리)과 전국 10개 시도 50여개 지역에서 단일화를 이뤄냈다. 그 결과 더민주당은 서울, 경기지역 36곳의 단일화로 여당에 이기는 등 큰 득을 보았고, 통합민주당도 10곳 가까운 단일화 덕택에 경기 고양 덕양갑에 출마한 심상정 후보가 전국 최소표 차(170표)로 당선하는 등 양당이 서로 이익을 챙겼으니 더민주당으로서는 야권연대의 추억을 충분히 그리워할 만하다.

상호이득이 되는 ‘야권연대’는 선거전략에서 유의미성(有意味性)을 갖는다. 국민여론에서 단일화 목소리가 높은 것은 1여(與)에 대항하려면 그 방법이 효과적이라는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당 등이 반대한 것은 양보를 보이지 않고 야권 연대를 빌미로 독식하려는 더민주당을 불신해서가 아니겠는가. 사실 ‘야권연대’라는 전략 성공의 핵심은 유권자의 지지 동원에 있는 것이다. 그것은 견고한 정책연대를 통한 구체적 비전의 제시, 국정운영의 합리적인 시시비비 등을 견인할 수 있다는 믿음, 상호 합의가 바탕인 바 시기적으로 봐도 이제 야권의 연대는 물 건너갔다. 그런 상황에서 앞으로 남은 1주일간 선거전은 네거티브 전략보다는 각 정당이 정치혁신과 국민이익을 확실히 챙기는 좋은 정책선거로 국민 심판을 받아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