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오후 대다수의 의원들이 자리를 비운채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이 열리고 있다.

5일, 이틀째 진행된 대정부질문에서 자기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의원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았다. 대다수의 의원석이 텅 비어 있었고 그나마 착석해 있는 의원들도 숫자를 셀 수 있을 정도로 적었다.

4일부터 시작돼 10일까지 이어지는 대정부질문은 정치 분야를 시작으로 외교·통일·안보 분야를 거쳐 경제와 교육·사회 분야 등 전반적인 분야에 대해 정부를 대상으로 국민을 대신한 현직 국회의원들이 국무위원에게 질문을 하는 제도이다.

4일 김형오 국회의장은 텅 빈 의원석을 보며 불참한 의원들을 겨냥해 “방청객 수보다 착석해 있는 우리 의원들의 수가 적다”며 “부득이한 사정으로 이 자리에 참석하지 못한 분들이 있겠지만 (대정부질문) 첫날부터 이렇게 보여서 되겠는가”라고 질타했다.

이어 5일 회의를 앞두고도 김 의장은 “지금 방청석에 초등학생들이 와서 기다리고 있는데 이래서야 되겠는가”라며 “정말 반성 좀 하자”고 덧붙였다.

또 김 의장은 “공부 잘하는 사람한테만 자꾸 잘하라고 하게 된다. 공부 못하는 사람한테 잘하라고 말할 시간은 없다”면서 “여야 원내대표는 각 당에 10명씩만 모아서 회의가 성립되게 해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이날 외교·통일·안보 분야의 대정부질문은 회의를 열 수 있는 의원 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아 오후 회의가 정시에 시작하지 못하고 예정된 시각보다 늦은 오후 2시 20분께 시작됐다.

국회법상 본회의를 열 수 있으려면 국회의원 60명이 회의시각에 참석해 있어야 한다. 4년마다 총선과 보궐선거 등을 통해서 국회에 등원하는 국회의원은 선출직이다.

국민을 대표해서 행정부와 사법부를 포함한 정부부처를 감시·감사하는 임무를 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매번 대정부질문에서 보여주는 국회의원들의 출석률은 참담하기까지 하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국회의장이 지적한 것처럼 초·재선의원들에 비해 의원직을 오래 경험한 의원들이 대체로 대정부질문의 출석률이 더 낮은 것은 그렇지 않아도 좋지 않은 국회의 이미지에 또 한 번 깊은 상흔을 남길 것으로 보인다.

대정부질문을 지켜보던 서울시민 한모(32) 씨는 “물론 질문을 하지 않는 의원들이 대부분이겠지만 첨예하게 논란이 되고 있는 세종시 문제와 남북정상회담 등에 대해 의원들이 들어야 할 것 아닌가”라고 반문한 뒤 “대정부질문에 참석하지 않는 의원들에게 벌점과 같은 페널티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시민 염모(73) 씨는 “나는 정치는 잘 모르지만 학교 다닐 때 출석은 잘했는데 의원들은 왜 이러냐”면서 “학생도 국회의원도 일단 출석은 잘해야 공부도 잘할 수 있고 정치도 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