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석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이제 곧 새로운 학년이 시작되거나 상급 교육 기관으로의 진학이 이루어진다. 우리 어른들도 새로운 환경에 접하면 긴장이 되어 움츠리거나 경계심이 올라갈 수 있을진대 하물며 아직 미숙한 어린이들이야 더욱 그러할 소지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우리 부모는 아이에게 닥칠 수 있는 몇 가지 어려움들을 예상해 대비하는 것이 좋겠다.

먼저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할 경우다. 이때 부모는 친구들의 요인과 아이 자체의 요인 두 가지를 다 파악해야 한다. 가령 친구들이 너무 거칠어서 아이를 놀리는 경우 학교 선생님 또는 상대 친구의 부모님에게 알리고 협조를 구한다. 한편으로 아이가 친구들의 장난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여서 마음의 상처를 입는다면, 집에서 엄마는 이를 긍정적으로 해석하게끔 도와준다. 다만 그전에 아이의 다친 마음을 먼저 읽어주고 이해해 준다. 예컨대 “친구들이 놀려서 무척 마음이 아팠겠구나”라고 말해 준 다음에야 “친구들이 너를 미워해서가 아니라 그냥 장난으로 재미삼아 그런 것이야”라고 일러준다. 또한 가장 마음에 드는 친구 한 명과 얘기를 나누어 볼 것을 권유한다. 여러 명의 아이들과 골고루 잘 어울리는 것은 아이에게 어려운 과제일 수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친구를 집에 초청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만일 아이가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경우라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학생이 어떻게 학교에 가기 싫어할 수 있느냐면서 당위론적인 설명을 하거나 또는 아이를 비난하는 것은 아이의 마음을 더욱 위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이가 학교를 가기 싫어하는 이유를 스스로 말로 표현할 수 있게끔 부모는 아이의 마음을 충분하게 다독여주면서 들어줘야 한다. 부모가 너를 도와주고 이해해 주기 위해서 이유를 알고 싶다는 말을 덧붙이면 도움이 된다. 그리고 원인 파악이 되면 함께 해결 방안을 찾는 모습을 보인다. 학교를 가기 싫을 만큼 스트레스를 받는 아이의 마음을 읽어줌과 동시에 부모가 도와 줄 것이라는 믿음을 준다. 그러고 난 다음에 아이가 가기 싫은 학교를 실제로 다녀오면 칭찬과 보상을 제공해 준다.

무작정 선생님을 무서워하는 아이도 있다. 이 경우 부모는 아이에게 선생님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을 해 줄 필요가 있다. 또한 엄마도 어렸을 때 선생님을 무서워했다는 말을 들려줘서 아이가 느끼는 감정이 자신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무서운 사람도 자꾸 보다보면 덜 무서워지고 친해질 수 있다는 긍정적인 예측을 해 준다. 그러나 지금 당장 무서워하는 감정을 그만 느끼라고 해서는 안 된다. 조급한 부모들은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를 무작정 다그치기도 하는데, 이것은 문제의 해결은커녕 아이의 불안과 분노의 감정을 더욱 자극하게 된다. 그 결과 아이는 공격적인 행동과 위축적인 행동이 교대로 나타나고,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오히려 박탈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거나 또는 길어지면 소아정신과적 장애(예: 우울증, 불안장애, 품행장애, 반항성장애 등)가 생길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아이가 새 학기에 적응하는 것을 힘들어할 때 가장 중요한 부모의 역할은 아이의 힘든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다.

아이가 일부러 스트레스를 받으려고 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누구나 다 낯선 환경, 특히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은 어느 정도 있게 마련이다. 아이에게 무작정 비난하려고 하는 태도보다는 차분하고 면밀하게 아이의 문제를 파악한 후에 이를 실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전략을 짜야 한다. 그러려면 아이와의 관계를 따뜻하고 좋게 긍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아이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끔 부모는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지금 어렵고 힘들지만 결국 다 잘 해결될 것이야”라는 부모의 진심어린 격려의 말을 들려준다. 만일 부모의 노력만으로 힘들다는 것을 인식한다면, 주저하지 말고 소아정신과 전문의에게 도움을 청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