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지난달 말 영국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연내 남북 정상회담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이 “사전에 만나는데 대한 조건이 없어야 한다”고 발언한 것을 보면 이미 북측과 상당한 진전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취임 당시부터 “남북 정상이 언제든지 만나 이야기해야 하며 그 기회는 열려 있다”는 것으로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 왔다.

남과 북의 정상이 만나 민족과 통일이라는 숙원 과제를 푸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중요한 것은 그동안 현 정부가 대북 문제에 있어 강경한 입장을 견지해 오다가 갑자기 유화정책으로 선회한 것에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물론 대북 유화정책이 지방 선거를 겨냥한 국면 전환용이어서는 안 된다. 국민 앞에 공개할 것은 공개하면서 투명성이 담보돼야 할 것이다.

청와대가 이 대통령의 발언을 “과거처럼 일회성으로, 정치적 이벤트 회담에 그치지 않고 언제든 수시로 만나 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면 더욱 정치적 목적이 개입돼선 안 될 말이다.

이 대통령이 조건 없는 만남을 전제한 만큼 대북 인도적 지원 즉, 비료나 식량 지원을 재개할 필요가 있다. 또 금강산·개성관광 재개를 위해 적극적인 제스처 역시 필요하다.

북한 역시 자국 영토 내 군사훈련이라고는 하지만 도발적 행위를 그만둬야 마땅하다. 최근 서해 북방에 해안포를 발사해 남한에 위협을 가하는 것은 남북 화해 분위기에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않길 바란다.

우려스러운 것은 최근 들어 북한이 친중(親中)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눈에 띄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까지도 강력히 반대했던 북한과 중국을 잇는 압록강 신(新) 대교 건설을 지난해 10월 수용했다. 또, 당사자인 남한을 배제한 통미봉남(通美封南)이라는 미국과의 직접 대화에 올인하고 있다는 점은 가볍게 여길 사안이 아니다.

역설적이게도 남한의 대북 지원과 대화채널이 끊긴 후 대중(對中)의존도가 높아졌으며, 대미(對美)대화에 적극적이라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일 문제만큼은 우리 민족끼리라는 절대적 주체가 있는 만큼 주변 강대국에 좌지우지되는 자승자박(自繩自縛)의 결과를 만들지 말고 인도적 지원과 상호공존의 끈을 놓아선 안 된다.

이 대통령이 전향적 자세로 대북 대화에 나선 만큼 정부는 정파와 정략을 떠나 상호 신뢰 회복과 인도적 지원을 통해 한반도 통일의 기초를 다지는 정상회담을 추진하길 바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