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산업연구원 이항구 박사(선임연구위원)

<인터뷰-한국산업연구원 이항구 선임연구위원>

[천지일보=손성환 기자]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시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자동차와 IT 등 기업 간 융합이 있어야 하고, 정부는 이를 위해 규제해소와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한다.”

서울 종로구에서 한국산업연구원 이항구 박사(선임연구위원)를 만나서 들은 말이다. 이 박사는 국내외 경제·산업을 분석해 정부에 제시한다. 그에게 자율주행차의 발전방향을 들어봤다.

- 자율주행차 기술, 2016년엔 얼마나 발전하나

자율주행자동차는 점진적인 혁신이다. 내연기관에서 갑자기 바뀌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인 것이다. 보통 2016년이면 자동주차 기능 등이 발전할 것으로 본다. 반자율주행은 2017년까지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까지 기술적으로는 완전 자율주행 시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관련 법규 마련과 전국적으로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정밀지도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걸리는 시간까지 고려하면 완전자율주행차 시대는 2030년으로 전망하고 있다.

- 해결해야 할 과제는

편의성은 계속 증진된다.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통신, 전장부품 등이 변화될 것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 가격이 올라가게 된다. 상용화를 위해서는 가격 해결이 중요하다. 자율주행차는 기존보다 8만달러 높게 본다. 이는 일반 자동차의 몇 배나 된다. 차량 가격이 싸야 자율주행차 대중화를 이룰 수 있다. 더구나 핵심부품의 국산화가 시급하다.

- 기업이 할 일은

(최근 산업부 주최로 현대차, LG전자, KT, 네이버 등이 ‘미래 자동차를 위한 융합 협의체’를 발족했다) 자동차와 IT의 융합은 잘 한 일이다. 예전에는 기업들 간의 제휴가 법적으로 금지돼 있었다. 미국, 유럽은 독점금지법이 풀리면서 제휴가 활발히 이뤄졌고 발전했다. 우리나라의 대기업을 보면 수직계열화를 통한 폐쇄적 생태계였다. 하지만 이젠 투자 다양화, 전략적 제휴, 인수합병 등 3가지를 해야 한다. 이는 비용분담과 기술융합발전 효과가 있다.

- 정부의 역할은

정부는 WTO(세계무역기구)룰에 걸리지 않는 가운데 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산업정책이 4가지가 있다. 연구개발투자, 지원하부구조(중소기업지원센터 등), 인력난해소, 수출지원 등이다. 독일에서는 미국도 벤치마킹한 유럽 최대 응용과학기술연구기관 ‘프라운호퍼연구소’를 통해 연구개발에 투자한다. 일본은 중소기업협업법을 2004년도에 만들었다. 이를 통해 인수합병을 많이 하게 한다. 대기업 간 제휴도 활발하다. 그러니 당연히 살아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