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광복·분단 70주년을 맞아 분단의 아픔이 서린 1930년대 금강산의 모습을 매주 금요일 지면 연재를 통해 최초 공개한다. 이 사진들은 1935년에 일본이 촬영한 사진이다.

일찍이 금강산의 가치를 알았던 일본은 이를 관광산업 수출자원으로 활용하고자 마케팅을 위해 당시 금강산 구석 곳곳을 다니며 접근촬영을 해 자료를 남겨 책자로 만들었다. ‘명산 일만이천봉 금강산’이란 타이틀로 일어와 영문으로 동시에 소개돼 있다. 그리고 일본은 금강산 일대에 철도까지 놓으면서 안내도를 그려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 하지만 일본의 이러한 야심찬 계획은 패망하며 수포로 돌아갔다.

그러나 우리 역시 다시 우리 땅이 됐어도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쉽게 갈 수 없는 그리운 곳이 됐다. 한때 금강산 관광이 실시됐지만, 이는 일부 지역만 갈 수 있었다. 북에서도 고위 관계자가 아니면 쉽게 갈 수 없는 금강산 구석구석의 절경이 사진을 통해 공개된다.

이 사진들은 기록사진수집가인 정성길 계명대 동산의료원 명예관장이 수집한 것으로, 일본은 패망하면서 이 자료집을 거의 유통시키지 않아 희귀한 사진이라 할 수 있다. 비록 흑백사진이지만 지금보다는 덜 훼손된 모습들이라 귀중한 자료다.

더구나 지난 10월 1·2차에 걸친 남북이산가족 상봉으로 통일의 염원과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라 의미가 깊다. 금강산을 가봤거나 혹은 이북에 고향을 둔 이들에게는 가슴 찡한 그리움의 향수를, 그리고 국민 대다수에게는 평화 통일을 염원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해 본다

듬성듬성 있던 나무, 현재는 많이 자라 있어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지난 연재에 이어 이번에도 해금강의 사진 몇 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지난 연재는 해금강의 원경 (遠景) 위주의 모습이었고, 이번에는 해안가로 좀 더 가까이 근접한 사진들이라 할 수 있겠다.

바다의 경치가 금강산을 닮았다고 해 지어진 이름의 해금강(海金剛)은 외금강 동쪽 동해안에 있으며, 북쪽으로는 금란굴, 총석정 일대와 남쪽으로는 영랑호, 감호, 화진포에 이르는 약 30㎞의 긴 구간을 자랑한다. 해금강에서는 총석정, 현종암, 선암, 불암, 송도, 사암, 칠성암, 해만물상 및 입석리 해안과 영랑호 등이 경승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소개하는 사진은 송도, 입석, 기암괴석의 모습이다. 먼저 해금강의 송도는 입석리 해안 부근에 있는 송도가 있으며, 또 하나 강원 고성군 통일전망대에서 육안으로도 선명하게 보일 정도로 남한 땅과 가까이 있는 송도도 있다. 흑백사진에 나온 송도는 입석리 해안 부근에 있는 장소다.  

사진에 나온 송도는 바위 위에 소나무가 수십 그루 자라 있으며, 또한 실제모습과 다르게 좌우가 대칭된 모습이기도 하다.

다음은 2장의 입석 바위사진이다. 금강산 관광 때 입석 바위 북쪽으로 많이 찾던 코스였다. 육지에서 바라보고 찍은 모습과 바다에서 바라보고 찍은 사진으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입석을 바라보고 촬영했다. 사진에는 소나무가 그리 많지 않은데, 현재의 입석바위에는 소나무가 다소 많이 자라 있어 80년의 세월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사진이다.

마지막으로 기암괴석 사진으로 굉장히 근접 촬영한 모습이다. 현무암으로 된 기암괴석이다. 이 때문에 살짝 제주도와 비슷한 느낌도 풍겨진다. 계단모양으로 깎인 바위의 모습이 일품이다.

▲ 해금강 송도. 바다에서 바라보고 찍은 모습이다. 그리고 실제모습과 다르게 좌우가 대칭된 모습이기도 하다. (사진제공: 정성길 명예관장)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