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광복·분단 70주년을 맞아 분단의 아픔이 서린 1930년대 금강산의 모습을 매주 금요일 지면 연재를 통해 최초 공개한다. 이 사진들은 1935년에 일본이 촬영한 사진이다.

일찍이 금강산의 가치를 알았던 일본은 이를 관광산업 수출자원으로 활용하고자 마케팅을 위해 당시 금강산 구석 곳곳을 다니며 접근촬영을 해 자료를 남겨 책자로 만들었다. ‘명산 일만이천봉 금강산’이란 타이틀로 일어와 영문으로 동시에 소개돼 있다. 그리고 일본은 금강산 일대에 철도까지 놓으면서 안내도를 그려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 하지만 일본의 이러한 야심찬 계획은 패망하며 수포로 돌아갔다.

그러나 우리 역시 다시 우리 땅이 됐어도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쉽게 갈 수 없는 그리운 곳이 됐다. 한때 금강산 관광이 실시됐지만, 이는 일부 지역만 갈 수 있었다. 북에서도 고위 관계자가 아니면 쉽게 갈 수 없는 금강산 구석구석의 절경이 사진을 통해 공개된다.

이 사진들은 기록사진수집가인 정성길 계명대 동산의료원 명예관장이 수집한 것으로, 일본은 패망하면서 이 자료집을 거의 유통시키지 않아 희귀한 사진이라 할 수 있다. 비록 흑백사진이지만 지금보다는 덜 훼손된 모습들이라 귀중한 자료다.

더구나 지난 10월 1·2차에 걸친 남북이산가족 상봉으로 통일의 염원과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라 의미가 깊다. 금강산을 가봤거나 혹은 이북에 고향을 둔 이들에게는 가슴 찡한 그리움의 향수를, 그리고 국민 대다수에게는 평화 통일을 염원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해 본다

자유롭게 수학여행 오가는 그날 염원하게 돼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지난 연재까지는 내금강과 외금강에 대해서만 소개했는데, 이번 호에는 해금강에 대한 사진을 소개한다.

해금강(海金剛)은 외금강 동쪽 동해안에 있으며, 해금강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바다가 금강산과 같은 경치를 자랑하고 있다는 것을 금방 알아차릴 수 있다. 실제 조선 후기의 문신 남택하(南宅夏)가 바다의 경치가 금강산을 닮았다고 해 이같이 지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해금강은 북쪽으로는 금란굴, 총석정 일대와 남쪽으로는 영랑호, 감호, 화진포에 이르는 약 30㎞의 긴 구간을 자랑한다. 그중 삼일포·해금강·총석정 구역이 가장 절경을 이루는 곳으로 꼽힌다. 화강암이 해안에서 반석, 언덕, 암초 등과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다. 해금강에서는 총석정, 현종암, 선암, 불암, 송도, 사암, 칠성암, 해만물상 및 입석리 해안과 영랑호 등이 경승으로 알려졌다.

사진에는 세 사람이 작은 배를 타고 바닷길을 따라 해금강 송도의 경치를 바라보고 있는 모습이다. 해안에 있는 화강암이 반석, 언덕, 암초 등과 어우러져 멋진 자태를 뽐내고 있다.

또 다른 사진은 여학교에서 단체로 50명쯤 되는 여학생들이 작은 어선을 타고 해금강에 수학여행을 온 모습이다. 이 사진은 일제가 관광 사업을 위해 남긴 자료사진과는 별개로 입수한 사진이다. 이 사진을 통해 하루빨리 통일이 돼 금강산으로도 자유롭게 수학여행을 떠날 수 있게 되는 그날이 오길 염원하게 된다.

해금강 언덕에 등대가 있는 모습의 사진은 해금강 암석과 암초 위 언덕 위에 자리 잡은 해금강의 일부 전경을 볼 수 있다.

삼일포의 전경이 담긴 모습의 사진도 있다. 삼일포는 사주(砂洲, 해안이나 하구에 모래나 자갈로 이뤄진 퇴적지형)에 의해 둘레 8㎞, 깊이 9~13m, 넓이 790㎡로 형성된 석호다. 관동팔경 중에 하나로 수면이 맑고 기괴한 암석과 36봉이 호수에 비치는 절경이 보는 이들로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예부터 우리나라 호수 중 제일 경색이 아름다운 호수로 꼽히고 있다. 금강산 관광 당시에도 개방된 코스로 관람객이 많이 찾았다.

강원 고성군 통일전망대에서도 해안선을 따라 멀리서나마 바로 눈앞에 보일 정도로 가까이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