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위안화 (사진출처: 연합뉴스)

3대 주요통화로 급부상
국내영향 엇갈린 전망

[천지일보=이승연 기자] 중국 위안화가 세계 기축통화 대열에 합류하면서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열린 집행이사회에서 중국 위안화의 IMF 특별인출권(SDR) 기반 통화(바스켓) 편입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미국 달러화와 유로, 영국 파운드, 일본 엔화에 이어 위안화가 5번째로 IMF의 SDR 통화 역할을 하게 됐다. 편입 시점은 내년 10월 1일부터다.

위안화의 SDR 편입 비율은 10.92%다. 미국 달러(41.73%), 유로화(30.93%)에 이어 3번째로 높다. 엔화와 파운드화는 각각 8.33%, 8.09%다. 이로써 위안화가 세대 3대 주요 통화로 부상하게 된 것이다.

위안화의 SDR 통화 편입이 결정됐지만, 실제로 위안화가 SDR의 환율 계산에 포함되는 등 편입에 따른 효과가 즉각 나타나진 않을 전망이다. IMF가 지난 8월 내년 9월까지는 현재의 4개 통화 체제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론 국제 금융시장에서의 위안화 가치는 커질 전망이다.

국내 경제에는 단기적으로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중국 위안화의 SDR 편입 가능성 및 영향’ 보고서를 통해 “위안화의 SDR 편입 초기 위안화 가중치는 10%대인 만큼 단기적으로 한국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한·중 교역에서 위안화 사용량 증가하고 있다는 측면에선 긍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대기업을 중심으로 위안화 무역결제는 지난해 4분기 1%에서 올해 3분기 3%로 늘었다.

전체 위안화 무역결제도 지난해 9월 2억 4000만 달러에서 올해 9월 9억 3000만 달러로 4배가량 증가했다. 연내 한·중 FTA까지 발효되면 장기적으로 위안화 수요와 활용은 더 늘어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원·위완 거래수수료 감소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란 분석이다. 외환 건전성 측면에서 달러화 의존도가 줄어드는 점도 긍정으로 평가됐다.

다른 한편에선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커지는 만큼 중국發 불안에 따른 동조화 현상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