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처음 발견된 무당벌레과 Scymnus(S.)sp.
지금까지 독도를 터전으로 삼은 생물종은 식물 53종과 조류 38종, 곤충류 46종과 해안무척추동물 30종 등 총 167종인 것으로 확인됐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지난해 영남대학교 등 3개 기관과 함께 3차례에 걸쳐 독도 생태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이 중에는 기존 문헌조사에 기록되지 않았던 쇠황조롱이, 칡부엉이, 쇠제비갈매기, 종달도요, 민물가마우지, 왕새매 등 조류 6종과 극동알락애바구미, 배검은꼬마개미 등 곤충류 10종도 함께 발견됐다.

특히 무당벌레과의 Scymnus(S.)sp.이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돼 국립농업과학원에 의뢰, 정확한 종 동정을 연구 중에 있다.

Scymnus(S.)sp.은 크기가 2~3mm로 진딧물을 잡아먹는 곤충이다.

또한 해안무척추 동물의 공통종 출현율을 조사한 결과 독도↔울릉도(61%), 독도↔영덕(48%), 독도↔울진, 경주(42%) 등으로 조사됐다.

50km 떨어진 영덕↔울진지역은 공통종 출현율이 57%이지만 84.7km 떨어진 독도↔울릉도는 61%로 독도와 울릉도가 생태적으로 가장 가까운 섬으로 확인됐다.

독도는 절지동물문인 거북속의 최대 규모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이는 독도가 동해안 등에 비해 해안생태계가 비교적 잘 보호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서식하는 해국.
한편, 독도 대표식물인 해국에 대한 식물유전자(DNA) 분석 결과 종의 기원은 울릉도·독도이며 일본으로 전파됐음이 입증됐다.

해국은 해변에 피는 국화라고도 해 해변국으로 불리기도 하며 30~60cm까지 자란다. 7~11월이 개화시기인 해국의 꽃은 연보라, 흰색이며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만 서식하고 있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첫 번째 확산경로는 울릉도·독도에서 우리나라와 일본이며 두 번째 확산경로는 강원도 양양지역에서 일본으로 전파·확산됐음이 객관적으로 밝혀졌다”고 밝혔다.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는 “2014년까지 지속적으로 독도의 자연생태계 모니터링과 식물 유전자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독도의 자연자원 보전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