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석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을 보내면서 오랜만에 그리운 가족을 만나고 모처럼 휴식을 취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심리적 부담감이 느껴지기도 했다. 게다가 여성들은 명절에 많은 노동을 해야 했고, 형제자매 간에도 아이들 얘기나 돈 얘기 때문에 서로 갈등과 반목이 생기기도 한다. 결국 명절 기간 동안에 몸이 힘들고, 마음도 불편해져서 집에 돌아오는 경우도 많다. 어떤 사람들은 병원 신세를 지기도 한다. 이른바 ‘명절증후군’이다. ‘명절증후군’이란 명절 때 받는 각종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적 또는 신체적 증상을 겪는 것을 말한다. 장시간의 귀향 과정, 가사 노동 등의 육체적 피로 및 성에 따른 차별, 시댁과 친정의 차별, 형제자매 또는 자녀 간의 비교, 대화 도중의 의견 불일치 또는 다툼 등이 주된 스트레스 요인이다. 증상이 매우 다양해서 두통, 어지러움, 소화불량, 위장장애 등의 신체적 증상뿐 아니라 우울, 무기력감, 분노, 질투, 적개심, 불안 등의 정신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명절증후군을 경험하는 사람은 대부분 며느리였으나, 최근에는 남편, 시어머니, 형제자매, 미취업자, 미혼자 등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명절증후군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을 알아보자. 먼저 가장 중요한 것은 대화를 통한 ‘환기(ventilation)’ 효과를 갖는 것이다. 환기를 통해서 낡은 공기를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것처럼 내 마음 속 묵은 감정의 찌꺼기를 이야기를 통해서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가장 가까운 남편이나 아내와의 대화는 필수적이다. 또한 잠깐의 스트레칭, 체조, 명상 등을 통해서 긴장된 몸을 이완시키고, 마음의 여유를 갖도록 한다. 만일 누군가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것이 느껴진다면, 다음과 같이 해 보자. 혼잣말로 자신의 불만을 스스로에게 말해 부정적인 감정을 발산시킨다. 잠자기 직전에 종이와 펜을 이용해 마치 일기를 쓰듯이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서 점검해 본다. 어느 정도 마음이 정리됨이 느껴질 것이다. 만일 특정한 사람의 특정한 말과 행동에 마음이 많이 상했다면, 그 사람과의 과거에 좋았던 상황을 떠올리면서 마음을 중화시킨다.

몸을 챙기는 것도 중요하다. 머리의 꼭대기 지점에 있는 정수리와 머리 전체를 자극하는 지압을 해 준다.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3~5초 정도 지그시 눌러주었다가 떼어 준 다음 3초 정도 쉰다. 이와 같은 동작을 5~10회 정도 반복해 준다. 또한 기지개를 쭉 펴주거나 다리를 쭉 폈다 구부렸다 하는 동작만으로도 훌륭한 스트레칭이 될 수 있다. 양손을 잡고 머리 위로 쭉 올려주는 동작과 앉은 자세에서 한 쪽 다리를 옆으로 또는 앞으로 쭉 펴주는 동작을 3~5회 정도 반복해 준다. 녹차, 홍차, 커피, 초콜릿, 카페인 함유 청량 음료수 등은 졸음을 줄이고, 상추, 우유, 생선, 육류, 튀긴 음식, 케이크 등은 졸음을 유발하는 음식이라는 것도 기억하자.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소 빠른 템포의 경쾌하면서도 신나는 음악을 듣는 것이 좋다. 특히 평소에 아는 노래를 틀어서 따라 부르면 졸음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도 졸음운전을 느끼면, 잠깐 차를 세워놓고 10~30분간의 짧은 수면을 취한 다음에 다시 운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절의 후유증으로 출근 후 무기력감과 피곤함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명절의 끝 무렵 출근하기 전날 미리 무슨 일부터 할 것인지 또는 회사 분위기를 상상하면서 환경의 변화에 스스로 적응시킨다. 출근 첫 날 일상생활로 다시 복귀했음을 스스로에게 선언하여 마음가짐을 굳게 가진다. 다시 시작하는 업무를 비교적 가볍고 익숙한 것들로 시작해 이른바 ‘워밍업’ 단계를 거친다. 직장 동료와 명절에 있었던 경험들을 서로 얘기하면서 대화를 나누는 것도 유용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