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공주시 중심인 반죽동에 백제시대 큰 절이 있었다. 절은 폐사되었으나 큰 가람터였음을 알려주는 당간지주는 역사의 잔영이다. 여기가 바로 백제시대 가람 ‘대통사(大通寺)’가 있었던 곳이다.

‘대통’이란 크게 통한다는 뜻인데 부처의 지혜와 자비가 널리 퍼지기를 기원 한 것인가. 이 대통사터는 어떤 역사와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

일제강점시기 절터에서 수습된 연화문 수막새가 현재 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공주 천도시기에 제작된 와당으로는 아름답고 단아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 와당은 중국 남조(南朝) 양나라 와당과 너무 흡사한 모양을 보여준다.

또 절터에서 ‘大通’이라는 글씨가 찍힌 와편이 수습되었다. 이곳은 절터로만 알려져 왔으나 명문 기와가 발견됨으로써 대통사의 비밀이 밝혀진 것이다.

대통이란 이름은 바로 양나라 무제(武帝)의 연호. 무제는 즉위하여 3년간(527~529AD)을 ‘대통(大通)’이란 연호를 사용했다. 무제는 불교에 깊이 빠진 황제였다. 그는 제나라를 멸망시키고 제위에 올라 국호를 ‘양(梁)’이라 했다. 가람을 대대적으로 신축하는 한편 세 번이나 황제자리에서 떠나 동태사(同泰寺)에 숨어 승려를 자처하기도 했다.

이 시기 백제는 무제처럼 불교에 심취했던 성왕(聖王) 대였다. 삼국유사 권3 흥법3 원종흥법염촉멸신(原宗興法厭髑滅身)조에는 ‘대통 원년 정미(527AD)에 양나라 황제를 위하여 웅천주에 절을 짓고 이름을 대통사라고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성왕이 부여로 옮기기 11년 전에 이 불사를 완성한 것이다.

무제는 우호국 백제에 많은 건축, 제와(製瓦)기술자와 서적 등 최첨단 기술을 전달했다. 삼국사기 기록에도 ‘경서(經書)와 모시박사(毛詩博士)·공장(工匠)·화사(畵師)’가 양나라에서 왔다고 기록된다.

이 시기 양나라에서 떠난 많은 배들이 백마강을 이용하여 공주 고마나루에 당도했을 게다. 대통사에서 백제 귀족들은 양나라 사신들을 위한 환영의 잔치를 벌였을 것으로 상정된다.

공주 무령왕릉의 화려한 전축분(塼築墳), 능 안에서 발견된 여러 가지 중국계 유물과 고도자기들은 많은 교류와 유대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백제는 이를 발전시켜 신라와 바다 건너 왜국에도 기술을 전수하였으며 국가의 위상을 높였다.

양나라 멸망 당시 백제 사신 일행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수도 건강성(建康城, 현 南京)을 방문했다. 그런데 크고 아름다운 궁이 반란군의 방화로 불타고 있었다. 사신들은 그만 털썩 주저앉아 슬프게 통곡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눈물을 흘리지 않는 이들이 없었다고 중국 기록은 전하고 있다. 양제국의 멸망은 흥성하던 백제의 운명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이달 중순이면 공주, 부여에서 제61회 백제문화제가 열린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후 처음 열리는 축제다. 예년보다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고마나루 인근에 조성 된 전통 한옥마을은 이미 예약 완료되었다는 것이다.

고대 남조(南朝)가 세워졌던 강소성 남경과 동태시 등 여러 도시에서도 서울보다는 공주여행을 하고 싶다는 바람을 한국여행사들에게 전해 왔다. 경복궁과 동대문만을 보는 관광에서 새로운 패턴을 찾고 싶다는 것이다. 공주를 중심으로 한 백제문화권역에 절 이름대로 ‘운수대통(運數大通)’의 기회가 오는 것은 아닌지.

요우커들에게 화장품을 파는 답보적 관광패턴에서 벗어나 고대 한·중 문화의 동질성을 전달하여 흥미와 감동을 주는 새로운 상품도 개발했으면 한다. 유서 깊은 역사와 문화자산을 가진 여러 지자체들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