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도수호국제연대는 경술국치 100년을 맞아 독도·동해 명칭의 국제표준화 전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를 가졌다. ⓒ천지일보(뉴스천지)


독도수호국제연대, 동해·독도 표기 문제 공론의 장

‘독도 지킴이’로 활동하고 있는 ‘독도수호국제연대’는 경술국치 100년을 맞아 일본에 의해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실천운동의 일환으로 ‘다케시마·일본해 국제명칭 오류시정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12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정책 토론회에서 주성재(경희대 교수, 뉴욕 주립대 대학원 지리학)박사는 ‘독도·동해 명칭의 국제표준화 전략’에 대한 주제발표를 했다.

주성재 박사는 먼저 ‘동해’ 표기의 타당성에 대해 “역사 문헌상 기원전 59년 고구려의 역사를 서술한 ‘삼국사기’ 중 고구려 시조 동명왕에 관한 기사에서 처음 등장하는 ‘동해’는 최소한 2천 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하나의 고유명사로 정착된 명칭”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역사적 사실은 ‘일본해’ 사용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는 1602년 ‘곤여만국전도’보다 1700년 가까이 앞선다.

특히 주 박사는 “국제적으로 지명을 통용할 때에는 현지 주민들이 사용하는 이름을 가장 우선 고려하는 것이 관례”라며 “일본인들은 스스로 ‘일본해’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서양인들이 사용하던 명칭을 19세기 중반 이후 받아들였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현재 국제사회에서는 ‘동해’ 명칭에 대한 한·일 간 합의가 필요하며 합의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두 이름을 함께 쓸 것을 권고하고 있다.

주 박사는 “세계 주요 지도제작자들도 기존의 일본해 단독 표기에 동해를 함께 표기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고 있다”며 “이 같은 국제적 추세는 ‘일본해’ 단독 표기는 문제 있음이 인정되고 있는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주 박사는 “현재는 동해와 일본해를 병기 표시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며 “하지만 단계적인 전략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동해’로 표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일각에서는 ‘일본해’와 대응되는 ‘한국해’로 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그는 “우리는 한 번도 동해를 ‘한국해’로 부른 적이 없다”며 “해당 지역 주민이 부르는 이름을 우선한다는 국제기구 원칙에 입각하면 ‘동해’가 설득력 있다”고 말했다.

또 주 박사는 “여러 나라로 둘러싸인 바다를 특정 국가의 이름으로 표기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면서 “한국, 북한, 일본, 러시아 등 4개국이 인접한 ‘동해’를 ‘한국해’로 표기하자는 대안은 자기모순”이라고 덧붙였다.

동해와 지정학적으로 비슷한 환경을 가진 바다는 유럽의 북해(North Sea), 발트해(Baltic Sea)가 있다.

프랑스, 영국, 독일, 덴마크에 둘러싸인 북해는 영국해·독일해·덴마크해로 각각 불러왔으나 국제수로기구 설립 이후 유럽대륙의 북쪽에 있다고 해서 ‘북해’로 표준화 됐다. 또한 독일, 러시아, 스웨덴, 핀란드에 둘러싸인 발트해는 오랫동안 국가 이름과 무관한 고유명사로 불려오면서 이 지역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주 박사는 ‘독도’ 표기 문제에 관해서는 “국가 간 경계가 명확하게 확정되지 않은 바다에 대한 지명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며 “독도가 대한민국의 주권에 속한 영토임이 분명한 이상, 그 지명으로 국내적으로 표준화된 ‘독도’와 그 로마표기인 ‘Dokdo’를 사용함이 타당하다고 국제사회에 적극적으로 주장해야 한다”고 전했다.

주 박사는 “무엇보다도 대학생을 비롯해 모든 국민이 독도가 왜 우리 땅인지 정당한 논리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를 남겼다.

한편, 이날 강승리(고려대 신문사) 편집국장, 곽진오(동북아역사재단) 박사, 김영훈(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청소년 기자, 손해영(교보문고 외국서적 구매 총괄) 팀장, 이기봉(국립중앙도서관 연구소) 박사, 이창걸(국민대) 박사가 토론자로 나섰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