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광복·분단 70주년을 맞아 분단의 아픔이 서린 1930년대 금강산의 모습을 매주 금요일 지면 연재를 통해 최초 공개한다. 이 사진들은 1935년에 일본이 촬영한 사진이다.

일찍이 금강산의 가치를 알았던 일본은 이를 관광산업 수출자원으로 활용하고자 마케팅을 위해 당시 금강산 구석 곳곳을 다니며 접근촬영을 해 자료를 남겨 책자로 만들었다. ‘명산 일만이천봉 금강산’이란 타이틀로 일어와 영문으로 동시에 소개돼 있다. 그리고 일본은 금강산 일대에 철도까지 놓으면서 안내도를 그려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 하지만 일본의 이러한 야심찬 계획은 패망하며 수포로 돌아갔다.

그러나 우리 역시 다시 우리 땅이 됐어도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쉽게 갈 수 없는 그리운 곳이 됐다. 한때 금강산 관광이 실시됐지만, 이는 일부 지역만 갈 수 있었다. 북에서도 고위 관계자가 아니면 쉽게 갈 수 없는 금강산 구석구석의 절경이 사진을 통해 공개된다.

이 사진들은 기록사진수집가인 정성길 계명대 동산의료원 명예관장이 수집한 것으로, 일본은 패망하면서 이 자료집을 거의 유통시키지 않아 희귀한 사진이라 할 수 있다. 비록 흑백사진이지만 지금보다는 덜 훼손된 모습들이라 귀중한 자료다.

더구나 남북이산가족 상봉 추진과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라 의미가 깊다. 금강산을 가봤거나 혹은 이북에 고향을 둔 이들에게는 가슴 찡한 그리움의 향수를, 그리고 국민 대다수에게는 하루빨리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해 본다.

6.25 전쟁으로 소실되기 전 신계사, 현재 복원된 모습과 비교
평온하고 신비한 ‘연주담’… 아름다움의 대표 경관 ‘노청경’

 

 

▲ The temple is in the west of Onseiri and 1900 meters distant from village. The place is surrounded by many famous moun-tains, and is secluded and the palatial house of the temple remind us of old days. the temple was built by the founder of a sect called Musetsu, at the age of Hoko-o. of Shiragi, and is one of the four great temples in Kongo.

신계사. 이 사원은 온세이리(온정리)의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마을로부터 1900m나 떨어져있다. 이곳은 외딴 곳에 위치에 있으며, 인근에는 많은 유명한 산들이 있고 웅장한 이 사원의 인가(人家)는 우리의 옛 시절을 떠올리게 한다. 이 사원은 신라 호코 시대에 무세추(보운스님)라고 불리는 종파의 설립자가 세웠다(직역). (사진제공: 정성길 명예관장) ⓒ천지일보(뉴스천지)
 

 

 

▲ If we turn a corner seeing the stream to the left from Gyokuryu-do, we come to the place where the green slopes gather round and the foot of a great rock intercepts our way. The place is Renjyu-tan Pool; it contains deep blue water and strikes terror into seekers’ hearts. The pool satisfies seekers with irs variable scene.

옥류동 연주담. 왼쪽에 있는 모퉁이를 돌면 보이는 교쿠류 도(옥류동), 녹색경사면으로 둘러싸인 곳에 와보면 큰 바위가 우리가 갈수 있는 길을 막고 있다. 이곳은 렌쥬 탄(연주담)이며 이 계곡을 찾아온 사람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할 만한 짙푸른 물이 있고 찾아온 사람들을 충족시킬만한 다양한 광경이 있다(직역). (사진제공: 정성길 명예관장) ⓒ천지일보(뉴스천지)
 

▲ Gyokuryu-do is the typical beautiful spot of Gyokuryu-kei ravine, which is the most beautiful scenery of the mountain; the stream runs through the precipitous steep rocks and many-shaped rocks in the stream dam up the clear stream dashing against them.

옥류동 노천경. 교쿠류 케이 협곡(옥류동 노천경)은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장소로 이 산에서 가장 아름다운 경관이다. 개울물은 가팔라진 바위들 사이로 흐르고 개울에 쌓아올려진 다양한 형태의 바위들이 맑은 개울물에 부딪혀 깨어진다(직역). (사진제공: 정성길 명예관장)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지난 연재에는 내금강 입구에 있는 만천교와 장안사(현재는 터만 남음)를 소개했는데, 이번 연재에서는 외금강 구룡연으로 향하는 입구에 있는 신계사와 길목에 있는 옥류동을 소개한다.

외금강은 금강산 관광이 활발하던 당시 주요 코스라 방문했던 이들에게는 이 사진들이 감회가 남다르게 느껴질 것으로 보인다. 외금강 관광 코스 중 대표적인 2개의 명소가 만물상과 구룡연이다. 만물상이 남성적이라면 구룡연은 여성적인 아름다움이 있다.

구룡연으로 가는 코스에는 입구에 신계사가 있고, 그 옆쪽으로 야트막한 문필봉이 보인다. 이름대로 붓모양을 하고 있다 하여 지어진 봉우리며, 과거 선비들이 문필봉을 바라보고 기도하면 정기를 받아 장원 급제를 했다고도 전해지고 있다.

신계사는 장안사, 유점사, 표훈사와 함께 금강산 4대 명찰로 손꼽히던 곳으로 신라 법흥왕 6년(519년)에 보운스님이 창건했다. 하지만 1951년 6.25 전쟁으로 주춧돌과 삼층석탑만 남고 소실돼 터전만 있었다. 1998년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면서 남북 불교계에서 이를 복원하기 위한 움직이기 있었고, 2004년 4월 착공식 이후 2007년 최종 복원을 마쳤다.

사진에 소개된 신계사는 전쟁으로 소실되기 전의 모습이라 의미가 남다르다. 현재 모습과 비교해 볼 수 있으며, 사진에는 신계사 앞에 논밭으로 보이는 땅이 보인다. 본 기자가 금강산 관광 당시 방문한 바로는 신계사 앞 주변이 황야에 가까운 벌판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신계사를 지나 오르다 보면 절벽이 빙 둘러 쳐져 있어 하늘만 볼 수 있는 앙지대가 나오고, 금강문을 지나면 옥류동이 나온다. 사진에는 ‘노청경(淸景)’이란 명칭이 써 있는데 물이 맑고 햇볕이 잘 들어 붙인 이름으로 보인다.

당시 촬영한 일본인은 이곳을 금강산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장소로 가장 아름다운 경관이라 했다. 개울물은 가파른 바위들 사이로 흐르고 개울에 쌓아올려진 다양한 형태의 바위들이 맑은 개울물에 부딪혀 깨어지는 모습에 입을 다물지 못함을 표현했다.

옥류동을 오르다보면 보이는 연한 회색의 우아한 석회암 바위들 사이로 옥빛의 맑은 연못이 들어서 있는 연주담(連珠潭)이 평온하고 신비로운 모습을 하고 있다. 두 개의 담소가 비단실로 꿰어놓은 듯 연이어져 있다 하여 지어졌다. 하늘의 선녀가 에메랄드 목걸이를 떨어뜨려 연못이 됐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자료집 설명에는 사람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할 만한 짙푸른 물이라고 표현했다. 그만큼 아름다운 연못임을 비유한 듯하다. 사진에는 물 위에 햇볕이 반사돼 반짝이는 모습이 평온함을 느끼게 한다.

이 옥류동이 특히 강원 오대산 소금강(小金剛)과 흡사한데, 왜 소금강을 작은 금강이라 부르는지 알 수 있을 정도로 금강산 옥류동의 자태는 빼어나다.

 

 

▲ 일제가 제작한 ‘세계의 명산 조선금강산 교통회도’란 제목의 금강산 약도. 빨간 원 왼쪽부터 내금강 입구, 옥류동, 외금강 입구, 고성.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