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광복·분단 70주년을 맞아 분단의 아픔이 서린 1930년대 금강산의 모습을 매주 금요일 지면 연재를 통해 최초 공개한다. 이 사진들은 1935년에 일본이 촬영한 사진이다.

일찍이 금강산의 가치를 알았던 일본은 이를 관광산업 수출자원으로 활용하고자 마케팅을 위해 당시 금강산 구석 곳곳을 다니며 접근촬영을 해 자료를 남겨 책자로 만들었다. ‘명산 일만이천봉 금강산’이란 타이틀로 일어와 영문으로 동시에 소개돼 있다. 그리고 일본은 금강산 일대에 철도까지 놓으면서 안내도를 그려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 하지만 일본의 이러한 야심찬 계획은 패망하며 수포로 돌아갔다.

그러나 우리 역시 다시 우리 땅이 됐어도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쉽게 갈 수 없는 그리운 곳이 됐다. 한때 금강산 관광이 실시됐지만, 이는 일부 지역만 갈 수 있었다. 북에서도 고위 관계자가 아니면 쉽게 갈 수 없는 금강산 구석구석의 절경이 사진을 통해 공개된다.

이 사진들은 기록사진수집가인 정성길 계명대 동산의료원 명예관장이 수집한 것으로, 일본은 패망하면서 이 자료집을 거의 유통시키지 않아 희귀한 사진이라 할 수 있다. 비록 흑백사진이지만 지금보다는 덜 훼손된 모습들이라 귀중한 자료다.

더구나 남북이산가족 상봉 추진과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라 의미가 깊다. 금강산을 가봤거나 혹은 이북에 고향을 둔 이들에게는 가슴 찡한 그리움의 향수를, 그리고 국민 대다수에게는 하루빨리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해 본다.

▲ 일제가 제작한 것으로 ‘세계의 명산 조선금강산 교통회도’란 제목 아래 금강산 약도가 그려져 있다. (사진제공: 정성길 명예관장) ⓒ천지일보(뉴스천지)
 
▲ 금강산으로 출발하는 전차(電車)의 모습 (사진제공: 정성길 명예관장) ⓒ천지일보(뉴스천지)
 
▲ 전기철도가 강원 철원부터 내금강의 장안사까지 연결돼 있는 가운데 단발령 고개로 전차가 달리는 모습이 보인다. (사진제공: 정성길 명예관장) ⓒ천지일보(뉴스천지)
 
▲ 금강산의 첫 관문이라 할 수 있는 장안사로 가는 입구인 만천교의 모습. 바로 뒤로는 장안사가 보이며, 다리 아래로는 내금강 물이 흐른다. (사진제공: 정성길 명예관장) ⓒ천지일보(뉴스천지)
 
▲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였던 장안사의 불타기 전 모습. 6.25전쟁 때인 1951년 불타면서 지금은 옛 건물의 주춧돌과 비석, 돌탑 등만 남아 있다. (사진제공: 정성길 명예관장) ⓒ천지일보(뉴스천지)

6.25때 불에 탄 ‘장안사’ 원형 그대로
일제가 만든 금강산 관광교통지도 한눈에
긴 전신주와 전기철도선의 단발령 눈길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최근 남북 고위급 회담이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금강산 관광사업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또 지난달에는 금강산 소나무에 고사 등 이상 증상을 보이자 금강산을 지키기 위한 북한의 요청으로 우리 측 산림 전문가가 파견되기도 했다. 이렇듯 금강산은 남북 긴장 완화와 평화 교류의 아이콘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지난달 11일은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씨가 피격 당한 지 7년째를 맞이하는 날이라 금강산에 대한 그리움과 아픔이 교차하기도 했다. 이 피격 사건으로 인해 금강산 관광사업이 1998년 11월 18일 동해항에서 출항하며 시작된 이래 10년 만에 중단됐기 때문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본지가 정성길 명예관장으로부터 90여장의 금강산 사진을 입수해 ‘두고 온 산하(山河) 금강산’이란 타이틀로 매주 연재하게 된다. 정성길 관장은 “가고 싶어도 갈 수가 없는 금강산을 사진으로라도 봄으로써 그리움과 한을 달래주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는 바람을 밝혔다.

이번 첫 연재에는 총 5장의 사진을 공개한다. 유일하게 칼라로 된 사진은 금강산 관광교통지도라 할 수 있는 사진이다. ‘세계의 명산 조선금강산 교통회도’란 제목 아래 금강산 약도가 그려져 있다. 금강산 주변으로 철도선이 보이고, 금강산 주요 봉우리와 사찰 등의 이름이 표시돼 있다. 금강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지도인 셈이다.

다음은 금강산전차(電車) 사진과 금강산 단발령을 달리는 전차 사진이다. 단발령 일대에 전신주가 길게 늘어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단발령은 신라 제56대 경순왕의 태자인 마의태자가 부처의 도움을 받고자 멀리 금강산의 여러 봉우리를 바라보며 출가를 다짐하는 뜻에서 이곳에서 삭발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전기철도가 강원 철원과 내금강의 장안사(長安寺)까지 연결돼 있다.

다음 사진은 금강산의 가장 첫 입구인 만천교의 모습과 이 다리를 통과하면 바로 나오는 장안사 사진이다. 만천교 아래 흐르는 물은 내금강 물이다. 내금강 물은 장안사 앞 만천교 밑으로 모여 흐르고, 외금강 물은 외원통암 아래 백천교 밑으로 모여 나가는데, 조선시대 금강산 탐승객들은 대체로 만천교로 들어와 백천교로 가는 코스를 택했기 때문에 만천교가 금강산의 첫 관문인 셈이다.

장안사는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였으나 6.25전쟁 때인 1951년 불타면서 지금은 옛 건물의 주춧돌과 비석, 돌탑 등만 남아 있다. 6세기경 건립된 장안사는 18세기경에 보수를 하긴 했으나 1000년에 가까운 사찰을 지금은 볼 수 없다는 점에서 불에 타기 전 원형 그대로 찍힌 이 사진이 주는 의미는 남다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