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순휘 여의도연구원 정책자문위원

 
영화 ‘연평해전’은 월드컵의 열기로 뜨거웠던 2002년 6월에 발생했다. 그것은 북한이 제1차 연평해전의 패배에 대해 도발을 해올 것이라는 위협이 현실화한 것이다. 당시 2002년 월드컵 열기에도 해군장병은 흔들림 없이 임무에 충실하며, 북한의 도발에 대비하고 있었다. ‘연평해전’의 참수리 357호 대원들도 실전을 방불케 하는 고된 훈련 속에 서로를 의지하며 뜨거운 전우애로 뭉쳐있었다. 무더운 여름과 함께 월드컵의 함성이 뜨거워지는 가운데, 한국과 터키의 3, 4위전 경기가 열리던 6월 29일 10시 25분, 서해 연평도 근해 NNL에서 북괴해군의 기습사격도발에 의해 치열한 총성이 울린다. 이에 대항해 투혼으로 맞서 싸운 해군장병의 전투를 영화화해 지난달 24일 개봉했다. 제작과정에서 제작비 지원을 받지 못하는 중단사태가 발생해 해군당국의 지원과 일반 국민의 모금참여로 제작비를 충당하는 어려움 가운데 완성된 작품이었기에 더 의미가 있다.

통상 한국영화가에서 북한을 적(敵)과 악(惡)으로 다룬 ‘반북(反北)영화’가 흥행에 성공을 거둔다는 것이 생각보다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영화감독들이 나서기를 꺼려하는 금기가 있다. 영화배우 차인표가 출연한 북한의 불법무도함과 탈북민의 처참함을 고발하는 ‘알바트로스(1996)’ ‘한반도(2006)’ ‘크로싱(2008)’ 등이 흥행에 모두 실패했다.

반면에 ‘친북성향의 영화’들은 줄줄이 흥행몰이를 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과거 이병헌이 출연해 북한군을 인간적으로 미화하며 국민의 정신을 무장해제시킨 ‘공동경비구역 JSA(2000)’와 6.25전쟁에 참전한 형제의 비극을 주제로 무모한 전쟁을 했을 뿐이라는 반전주의를 심어준 ‘태극기 휘날리며(2004)’는 영화사를 다시 쓸 만큼의 흥행을 기록했다. 그리고 ‘웰컴 투 동막골(2005)’은 남북한 병사 간 화해를 주제로 북한은 동족이라는 연민을 자극하고, 미 공군 조종사의 무자비한 폭격장면을 통해 반미선동성을 부각하면서 흥행에 성공했다. 그리고 ‘고지전(2011)’은 6.25전쟁 당시 고지탈환전투를 중심으로 남한군의 부패상과 비인간성을 부각하고, 북한군의 인간적인 면을 그리면서 고지전에 투입된 장병의 희생을 헛된 것에 불과하다는 허무주의적 전쟁시각으로 6.25전쟁을 폄훼하기도 했다.

이처럼 영화는 작품으로 역사에 기록되고 남겨져서 그 영향력을 발휘하는 문화의 힘이다. 이 힘은 비록 픽션(fiction)이지만 영상화되면서 사실(fact)로 둔갑돼 그 어떤 증언보다 강력한 설득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