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環境)이라는 단어를 과연 어떠한 것이라고 꼬집어 정의할 수 있을까? 기자가 환경 분야를 맡아 취재를 다니면서 내내 반문했던 말이다.

요즘 시대흐름에 맞게 환경을 굳이 정의 내리자면 동식물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거기에 ‘위기’와 ‘공감’이라는 단어가 합쳐지면 그것은 사회적, 나아가 국제적인 문제요, 이슈거리가 된다.

Hoemberg는 “자연, 생태, 그리고 환경은 더 이상 공적인 논쟁의 주변부가 아니라, 오래 전에 이미 정치적인 논쟁의 핵심 주제가 되었다”고 말한 바 있다.

국내외적으로 작고 큰 선거공략에 환경개선을 화두로 던지는가하면 105개국 정상들이 온실가스 감축을 논의하기 위해 모인 이번 코펜하겐 기후변화총회만 봐도 환경문제는 이미 국제적으로 ‘위기’라는 인식이 ‘공감’을 얻은 바라 하겠다.

많은 사람들이 이번 총회를 ‘지구를 구할 마지막 기회’라고 부른다. 많은 언론이, 국가가, 많은 환경단체가 위기라는 분위기를 이미 조성했으며 이제 전 세계 누구나 지구 온난화가 위기라는 것에는 반문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늘 환경문제가 이슈는 되도 해결이 어려운 이유는 공감은 하지만 각자가 처한 위기 상황과 인식의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이는 결과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니다.

개도국은 개도국 나름대로 온난화의 주범이 선진국이라며 선진국의 재정적인 지원 하에 감축량을 정하겠다, 그동안 선진국이 누렸던 산업화를 누릴 수 있게 해달라는 등 선진국 입장을 살피고 있다.

반면, 선진국은 지구 온난화 대응 비용을 모든 나라가 일정한 수준으로 어떻게 배분할지에 대해서만 관심이 쏠려있다.

이러한 입장 차이는 국가 간 뿐만 아니라 국가 안에서도 나타난다. 정부, 환경단체들은 온난화 감축량, 온난화 심각성에 공감하지만 사실상 온난화로 인한 실질적 피해를 피부로 느껴보지 못한 국민들은 그저 위기란 말에만 고개를 끄덕일 뿐, 어떠한 액션도 취하고 있지 않다.

기자의 생각은 그렇다. 심각한 위기 분위기만을 조성해놓고 대처방안만 쥐어짜내는 식의 방법은 지구온난화 문제에 지속적인 해결점은 되지 못할 것이다.

두세 사람이 아니기에 모두가 같은 인식을 갖고 출발하기는 어렵겠지만 먼저 위기를 느낀 사람 또는 국가가 위기의식이 부족한 사람들과 국가의 인식을 도와 공감을 충분히 해 초점과 방향을 같이하는 것이 중요한 때이지 않을까 싶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