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말 중에 종교에서 유래된 단어도 있다. 본래의 뜻을 쓰는 경우도 있지만, 본래의 뜻과 다르게 사용되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은 단어의 어원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판사판(理判事判) : 막다른 궁지, 끝장을 뜻하는 말
理 다스릴 리, 判 쪼갤 판, 事 일 사, 判 쪼갤 판

화려한 불교국가로 칭했던 고려시대. 고려 말에 불교의 폐해가 날로 심해지면서 조선은 억불숭유(抑佛崇儒)라는 건국이념을 들고 일어났다.

조선 건국 시 신흥 유학자 사대부 세력이 대거 참여한 것도 한몫했다.

결국 유교를 건국이념으로 한 조선은 불교를 찬밥신세로 몰아붙였다. 이로 인해 정권이 교체돼 승려들은 천민계급으로 전락한다.

승려들은 어떻게든 사찰을 존속시키기 위해 두 부류로 나눠졌는데 바로 이판(理判)승과 사판(事判)승이었다.
이판승은 불법(佛法)을 이어나가기 위해 속세를 벗어나 토굴이나 암자에서 수행의 길을 걸었고, 사판승은 폐사(弊社)가 되지 않도록 기름이나 종이, 신발 등을 만드는 등 제반 잡역에 종사하면서 사원을 유지해 나갔다.

이렇게 이판, 사판 승려들의 눈물겨운 노력으로 인해 그나마 불교가 유지될 수 있었다.

허나 조선의 억불정책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았고 승려를 최하계급으로 천대해 궁의 출입마저 금지되는 수모를 겪어야 했다. 따라서 당대 승려가 된다는 것은 막다른 벼랑 끝에 최후의 결정을 내야만 가능한 일이었다.

결국 ‘이판사판’이란 말은 본래의 뜻과는 전혀 다르게 막다른 궁지에 몰려 어찌할 도리를 못 찾을 때, 막다른 궁지, 끝장이란 뜻으로 사용하게 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