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오후 서울시 중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대한민국 초대 인권대사를 지낸 박경서 교수가 평화와 통일에 대해 말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인터뷰| 박경서 초대 인권대사
“한반도 평화, 세계평화와 직결… 먼저 남북통일 돼야”
“대통령 따라 정책 변경… 이해 떠나 평화협정 이뤄야”

[천지일보=이혜림 기자] 1970년 12월 7일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의 2차 세계대전 시기에 희생된 유태인을 기리는 위령탑 앞. 한 50대 남성이 헌화를 하던 도중 털썩 무릎을 꿇었다. 그는 바로 독일 통일의 초석을 쌓은 서독 총리 빌리 브란트다. 한 나라의 총리인 그는 2차 세계 대전 시기 독일 나치에 의해 희생된 폴란드 유태인들에게 진심 어린 사죄를 했다. 이 일은 전 세계에 알려졌고, 서방국가뿐 아니라 공산진영 국가들에게까지 영향을 끼쳤다.

‘동서화해 정책(동방정책)’으로 냉전시대 동서의 긴장을 완화시켜 독일 통일의 발판을 마련한 빌리 브란트처럼 전 세계 유일한 분단국가인 우리나라의 통일을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 그는 바로 사회학자인 박경서 교수다. 그를 만나 독일 통일을 통한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에 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한반도의 평화정착은 우리들의 분단 70년 문제뿐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평화, 아시아의 평화, 더 나아가 세계 평화와 직결됩니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통일이 돼야 합니다. 하지만 전쟁으론 해결할 수 없습니다. 전쟁은 평화를 가져올 수 없기 때문이죠.”

대한민국 초대 인권대사를 지낸 박경서 교수는 평화와 인권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고 했다. 그는 “평화를 생각하는 사람은 인권의 존엄을 생각하는 것이다. 평화는 우리의 삶 속에서 전부는 아니지만 평화 없이는 살 수 없다”며 “빌리 브란트도 동독과 서독의 화해를 통해 통일로 가는 이념의 근저에서 평화를 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평화를 저해하는 것은 폭력, 전쟁, 핵 등 장애물이다. 이런 것에 대한 거부운동이 평화운동”이라며 “한반도의 평화 정착이라는 것은 우리의 평화뿐 아니라 우리 주위를 둘러매고 있는 사람들의 평화를 생각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6자회 담당사국 가운데 남북을 제외한 나머지 4개 나라가 우리처럼 평화 통일을 바라지 않는다는 게 박 교수의 주장이다. 그는 “물론 그들은 우리 통일을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당사자인 우리만큼 노력하고 바라고 생각하겠느냐. 아니다”라며 “한반도는 동독과 서독이 통일을 위해 했던 것처럼 남북이 화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통일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나라를 이끄는 윗선들의 역할이다. 박 교수는 정치 이해관계를 떠나 평화협정을 이뤄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빌리 브란트의 동방정책 이후부터 독일의 여야는 함께 뜻을 모았다. 미래를 생각한 것이다. 한국의 국회의원도 이를 배워야 한다”며 “그러나 한국은 대통령에 따라 통일 정책이 바뀐다. 야당의 대통령이 당선되면 여당이 해왔던 통일 정책을 무시하고 새로운 정책을 추진한다”고 한탄했다.

“분단된 지 벌써 70년입니다. 대통령은 5년 임기이니 70년 동안 십여번 통일 정책이 바뀐 것이지요. 이제는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통일에 대해 연구해 뜻을 모아야 합니다. 우리의 후손을 생각한다면 어려워도 이뤄내야 합니다.”

아울러 그는 “평화를 이루기 위한 통일로 가기 위해 종교 세력이 앞장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 교수는 “타종교를 자기가 믿지 않더라도 존중해야 한다”며 “타종교를 대치하는 것은 진정한 종교가 아니다. 종교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그래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개신교에서 이단논쟁이 심하다. 하지만 누가 ‘나는 옳고 너는 이단’이라고 할 수 있느냐. 성경에 보면 해답이 나와 있다”며 “모든 종교를 초월해 종교는 평화를 지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