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거는 실패했으나 잠자고 있던 우리의 독립의지를 드높인 쾌거
폭탄 화력만 강했어도 성공… 윤봉길 상하이의거 성공 견인차 역할
“건국훈장 2등급서 1등급 올려야, 생가복원 꼭 필요”
“상암 日장교숙소 복원, 문화재라 하는 부끄러운 현실”

▲ 1931년 12월 13일 한인애국단 선서식을 마치고 찍은 이봉창 의사 사진 (사진제공: 이봉창생가복원추진위원회)

“제 나이가 31세입니다…. 인생의 목적이 쾌락이라 하면 31년 동안 인생 쾌락을 대강 맛보았으니, 이제는 영원 쾌락을 도(圖)키 위해 우리 독립 사업에 헌신을 목적하고 상해로 왔습니다.”

“나는 영원 쾌락을 향(享)코저 이 길을 떠나는 터이니 우리 양인이 희열한 안색을 띄고 사진을 찍읍시다.”

나 역시 미소를 띄우고 사진을 찍었다.

-백범일지 중에서-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일제의 탄압과 억압으로 독립항거는 잠잠하고 암울하던 일제강점기 1932년 1월 8일 오전 11시 44분. 일본 도쿄 요요기 연병장에서 신년 관병식(觀兵式)을 마치고 돌아가는 일왕 히로히토를 향해 군중들은 열렬한 환호를 보내고 있었다. 그 무리 틈에서 숨을 죽인 채 일왕이 자신의 앞으로 다가올 때까지 기다리고 있던 한 청년.

일왕이 탄 마차가 자신의 눈앞에 나타나자 청년은 지체 없이 속주머니에 숨겨놨던 폭탄을 힘껏 던졌다. 일본인들에게 현인신 (現人神)으로 추앙받는 존재인 일왕에게 누가 감히 폭탄을 던질 거라 생각했겠는가. 요란한 폭음과 연기로 주변은 온통 아수라장으로 변했고, 폭탄은 일왕을 빗겨간 채 수행하던 사람과 말만 부상을 당했다. 안타깝게도 의거는 실패로 끝났고, 청년은 자결을 시도했으나 일본 경찰에 붙잡혔고 결국 옥고를 치르다 그해 10월 10일 교수형으로 만32세의 젊은 생을 마감했다.

이 청년은 바로 이봉창 의사다. 일본인들이 신처럼 떠받드는 일왕을 제거하고 조선의 독립 의지를 천명하고자 83년 전 죽음의 불구덩이로 뛰어들었던 이봉창 의사. 비록 뜻은 이루지 못했지만 잠자고 있던 우리의 독립의지를 깨웠고, 이는 훗날 윤봉길 의사의 의거(1932. 4. 29) 등을 비롯한 애국지사들의 활발한 항일 독립투쟁으로 이어지게 된다.

어쩌면 이 의사의 의거는 실패가 아닌 성공이었는지 모른다. 일왕을 응징하려 했다며 최고의 대역죄를 뒤집어쓰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으나, 그는 우리 처지와 비슷하던 중국인들에게도 엄청난 파급을 미쳤고 큰 힘을 주게 된다.

▲ 얼굴이 가려진 채 일본 경찰의 호위를 받으며 일본 재판장으로 들어가는 이봉창 의사 (사진출처: 이봉창 의사 전기집)

이종래 이봉창생가복원위원회 회장에 따르면 일왕을 직접적으로 해하려고 시도까지 했던 한국인은 역사상 이봉창 의사가 유일했다. 일제는 일왕을 건드리는 것을 가장 큰 대역죄인으로 분류하는데 항간에 들리는 이야기로는 일제로부터 역대 최고 대역죄인에 지목된 한국독립운동가는 딱 2명이 있다. 바로 이 의사가 그중 한 명에 포함될 정도로 일본에겐 크나큰 충격을 안긴 인물이었던 것이다.

나머지 한 명은 일왕 왕세자 결혼식 때 일왕 일가족을 암살하려다가 사전 발각돼 체포됐던 박열 의사였다. 박 의사는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무기징역으로 감형돼 해방 때까지 22년간 옥살이를 마친 후 6.25전쟁 중에 납북해 평양에서 생을 마감한 인물이다.

이종래 회장은 “이봉창 의사가 일왕에게 던진 폭탄이 만약 화력만 강했어도 성공했었을 것이다. 화력이 약해 피해를 입히질 못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윤봉길 상하이의거 때는 실패 원인을 거울삼아 더욱 강력한 폭탄을 준비할 수 있었고, 그 덕분에 윤 의사 의거가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었던 것”이라 말했다. 즉 이 의사의 거사가 윤 의사로 하여금 성공하게 하는 견인차 역할을 한 셈이다.

◆ 작년 10월 순국 전 사진 공개

▲ 윤주 관장이 최근 공개한 이봉창 의사의 순국 전 사진. 1932년 9월 30일자 日아사히신문에 실린 사진 (사진제공: 매헌기념관). ⓒ천지일보(뉴스천지)

지난해 10월 윤봉길 의사 친조카인 윤주 매헌기념관장은 이봉창 의사의 순국 열흘 전 사진을 공개했다. 1932년 9월 30일자 日아사히신문에 실린 사진이며, 그 옆에는 ‘대역범인 이봉창(상) 그의 생가(우하)와 도쿄에 있는 숙박 장부에서 확인한 필적’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윤 관장은 3년 전 발행한 윤봉길의사 전집 발행과정에서 해외를 다니며 자료를 정리하다가 나온 것이라 말했다. 작년 이 의사의 서거 82주기를 맞아 그를 국민들에게 알릴 필요성을 느껴 공개하게 됐고, 아직도 이 의사의 업적은 다른 독립운동가에게 묻혀 있는 것을 안타까워하고 있었던 것이다.

윤 관장이 이봉창 의사를 높게 평가하는 이유는 꺼져 가는 임시정부와 조선의 위상을 살렸다는 데 있다. 3.1운동의 영향으로 임시정부가 수립됐는데, 파벌싸움에다 재정이 어렵게 되자 독립운동가들이 다 떠나는 상황에서 이봉창 의사는 일본에서, 윤봉길 의사는 시골에서 각각 자발적으로 임시정부를 찾아갔다는 점이다. 특히 이 의사는 일본인들의 심장이자 제국주의의 상징인 최우두머리를 제거하려 했다는 점에 존경스러워 했다.

비록 의거는 실패했으나 파장이 엄청났고, 당시 세계에서 존재 자체를 인식 못했던 한국의 존재와 독립의지를 만천하에 알리는 데 큰 공헌을 했다는 게 윤 관장의 설명이다. 아울러 중요한 것은 임시정부의 불씨를 살렸고, 이는 윤봉길 의사의 거사로도 이어질 수 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거사를 앞두고 이봉창 의사는 환하게 웃으며 기념사진을 찍었는데, 사진은 안중근 의사의 친조카인 안낙생이 찍었다. 마음 아파하는 김구 선생을 오히려 위로하면서 ‘영원한 쾌락을 얻으러 간다’면서 기쁘게 같이 찍자고 했다. 당시 이봉창은 결혼도 안한 32살의 청년이었다. 설사 성공할지라도 죽을 것을 알고 각오한 거사였다. 그리고 짧은 생을 마감했다.

▲ 지난해 10월 10일 서울 효창공원 이봉창 의사 묘소 앞에서 진행된 82주기 추모식에 참석한 이봉창생가복원추진위원회 이종래 회장(가운데)이 헌화 및 분향을 하고 있다. 이상면 박사(왼쪽), 김동영 부회장(오른쪽)이 함께 참여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 건국훈장 재심사, 생가복원 꼭 필요
그럼에도 이봉창 의사는 건국훈장 2등급을 받았다. 윤 관장은 이 의사의 의거가 독립운동사에 끼친 영향으로 평가한다면 1등급 이상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사 때 1등급에 오른 사람이 30여 명인데, 이 의사는 아마도 의거가 실패했다는 이유로 2등급을 받은 듯하다.

윤 관장은 “당시 어떻게 평가했는지 모르지만 심사가 잘못됐다. 재심사를 위해 여러 차례 국가보훈처에도 청원서를 올렸는데 답장이 오길 ‘어느 개인만을 위해서는 심사를 다시 할 수 없다’는 공문 답변이 왔다. 이건 말이 안 된다”고 개탄했다. 그러면서 속히 1등급으로 올려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아울러 흔적조차 사라져가고 있는 이봉창 의사의 생가 또한 복원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사가 독립운동사에 준 영향을 생각한다면 기념관 하나 제대로 없고 너무나 초라하다.

이종래 회장은 “이 의사가 서거한 지 82년이나 지났지만 아직 생가 복원을 못하고 있어 부끄러움을 느낀다. 이는 국민의 관심 부족이며, 이 의사의 생가는 복원 시작조차 못했는데 마포구 상암동에는 일본군 장교 숙소를 복원시키고는 이를 문화재라고 내세우는 것이 참으로 부끄러운 현실”이라 안타까워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