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동두천시 캠프 케이시 정문. 제46차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한미연합사령부 본부 등을 전작권 전환 시까지 미군기지에 잔류시키기로 하자 동두천·용산 미군기지 인근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서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안보 생각해 옮기지 말자는 의견도

[천지일보=이혜림 기자] 제46차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한미연합사령부 본부 등을 전작권 전환 시까지 미군기지에 잔류시키기로 했다. 갑작스런 미군기지의 잔류 소식에 동두천·용산 미군기지 인근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서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양국이 합의한 내용에 따르면 서울 용산과 경기 동두천의 한미연합사, 미 2사단 210포병여단은 현 위치에 잔류한다. 용산 기지의 경우 현재 265만㎡ 가운데 46만㎡를 미군이 계속 점유하게 된다.

이 부지에는 연합사 건물(화이트하우스), 미8군사령부 건물, 작전센터, 지휘통제소(CC서울), 연병장 등이 포함돼 있다. 우리 정부는 미군이 해당 지역을 대외비로 분류해 놓고 있어 잔류하기로 결정된 건물들의 정확한 위치와 규모, 시설 현황 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잔류 면적의 부지가 당초 예상보다 넓어지자 서울시의 용산공원 조성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서울시와 국토부는 2017년부터 반환받은 용산기지 부지를 녹지공원으로 조성할 예정이었다.

국토부는 공원조성에 지장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주민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인근 주민 정상덕(65, 남,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동) 씨는 “잔류는 말도 안 되는 소리다. 미군기지는 빨리 이사를 가야 한다”며 “용산미군기지이전협정(YRP)과 연합토지관리계획 개정협정(LPP)을 전면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삼각지역 근처 상가주인 이상준(50, 남, 서울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씨는 “당초 계획대로 평택으로 이전해야 할 것”이라며 “조금씩 잔류한다고 하다가 안 가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미 2사단 210 화력여단이 자리 잡은 경기도 동두천의 캠프 케이시는 동두천지역 6곳의 미군기지 가운데 가장 넓은 곳을 차지하고 있으며 시 전체 면적의 15%에 이르는 지역이다. 시는 이 미군기지를 2016년까지 평택으로 이전하고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반환 후 1년간 토양오염을 정화하는 작업을 거친 뒤 주거시설과 외국 대학, 연구단지 등을 유치할 계획이었다.

이번 정부 결정으로 계획에 문제가 생기자 시와 시의회, 주민들은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하고 성명을 발표하는 등 합의 철회를 촉구했다. 지난 24일 오세창 동두천시장은 “일방적인 잔류 발표는 동두천 주민이 죽든지 살든지 상관없다는 얘기나 마찬가지”라며 “미2사단 정문 폐쇄가 됐든 뭐가 됐든 우리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투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민들은 잔류에 따른 경제적 손실에 대해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성토했다. 캠프 케이시 인근에 사는 전순호(55, 남, 경기도 동두천시 보산동) 씨는 “옛날처럼 미군이 많이 살고 있으면 문제가 없지만 지금은 모두 떠나가 미군을 상대로 창업한 사람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가 이들을 위해 지원하는 등 대책을 제시하면 경제가 살아날 것”이라고 꼬집었다.

반면 인근 상인들은 북한을 코앞에 둔 안보 현실을 감안해 기지를 옮기면 안 된다는 의견도 많았다. 동두천이 고향이라는 최주향(53, 여, 경기도 동두천시 보산동) 씨는 “북한이 핵을 가지고 있음에도 전쟁을 하지 않는 이유는 미군기지 때문”이라며 “미군기지 이전한다고 통일되는 것 아니니 지역 특성에 맞게 서로 돕고 잘 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