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철희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17일 서울 중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강당에서 열린 ‘2014 나눔연구소 기획포럼, 함께 준비하는 통일 한국’에서 주제발제를 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민간 비영리 단체, 모금 상품 개발·홍보 필요”

[천지일보=김민아 기자] 통일 후 북한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비용이 연간 1300여억 원에 달한다는 추계 결과가 나왔다.

17일 서울 중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 열린 2014 나눔연구소 기획포럼 ‘함께 준비하는 통일 한국: 민간영역에서의 공동모금회 역할’에서 강철희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의 주제발제를 했다.

이는 민간 부분이 개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 사회복지서비스 기본 체계에 한정되며 남한과 동등한 수준의 재정지원을 기준으로 산출했다는 것이 강 교수의 설명이다.

강 교수의 주제발제에 따르면 통일 후 북한 취약계층 사회복지서비스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관 개수는 2393개이며 운영지원비는 연간 1335억 원으로 집계됐다.

종류별로 살펴보면 사회복지기관 204개소, 장애인복지관 88개소, 노인복지관 95개소, 지역아동센터 1888개가 필요하며 이를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해 각각 420여억 원, 289여억 원, 303여억 원, 231여억 원의 운영지원비가 들 것으로 예상했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사회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민간 비영리 영역의 역할로 제시한 것”이라며 “통일 한국을 준비하기 위한 관련 모금 상품이 개발·홍보돼 기부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면 현시점의 민간영역 역할은 ‘북한의 인도적 지원 사업’의 확대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교성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대북지원을 통해 식량난 해소 등 북한 주민의 기본적 생존권을 보장하고 인도적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며 “인도주의적 동포애를 전달함으로 북한 내에 모금회의 인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허동수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은 “독일의 통일 과정에서 민간 영역은 분열된 국민정서를 모아 사회 통합의 중요한 역할을 해냈다”며 “민간 복지 영역이 자체적 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해 통일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는 홍사덕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양호승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회장, 정옥임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이사장, 김영종 한국사회복지학회 회장, 신효숙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팀장, 고경빈 평화재단 이사 등이 참석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