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주최로 15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개인정보 대청소 대토론회’가 진행 중이다. ⓒ천지일보(뉴스천지)

“부분적·제한적 법률 근거 마련해야”
“현행법만으로도 대부분 보호 가능”

[천지일보=김민아 기자] 잊혀질 권리에 대한 입법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15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개인정보 대청소 대토론회’에서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논쟁이 벌어졌다.

잊혀 질 권리는 인터넷에서 생성·저장·유통되는 개인의 사진이나 거래 정보 또는 개인의 성향과 관련된 정보에 대해 소유권을 강화하고 이에 대해 유통기한을 정하거나 이를 삭제·수정·영구적인 파기를 요청할 수 있는 권리 개념이다.

지성우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부분적·제한적으로라도 잊혀 질 권리에 대한 법률 근거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 교수는 “현행 정보통신망법은 개인의 사생활 침해 및 명예훼손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정보에만 삭제 등의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며 “적법한 내용이지만 내 마음에 들지 않는 정보에 대해서는 규제할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유럽사법재판소가 시효가 지난 부적절한 개인정보에 대해 제한적 삭제 판결을 내림으로써 그 이후 4개월간 14만 건의 개인정보 삭제 요청이 발생했다”며 “인터넷 선진국으로서 우리나라에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잊혀 질 권리에 대한 입법 논의가 충분히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권헌영 광운대 교수는 “지금의 개인정보법만으로도 개인정보를 상당 부분 보호해 줄 수 있다”며 “잊혀 질 권리는 국회의원이나 정치인, 유명 연예인, 기업 등이 자신에게 불리한 정보를 삭제하기 위해 쓰일 가능성이 크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권 교수는 “카카오톡 검열 파동 등을 통해 불필요한 정보를 남기지 않는 프로그램이 개발됐다”며 “잊혀 질 권리는 사건마다 인정 범위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입법보다는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정하경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제정하고 시행한 지 3년이 지났지만 크고 작은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우리 사회에 끊이지 않고 있다”며 “개인정보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하기 위해 법과 제도뿐 아니라 이를 소중히 여기는 국민 모두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