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소방서장 최영균

일전에 교외에 있는 한적한 식당을 찾았는데 쟁기와 탈곡기 등 농기구와 원두막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어린 시절 원두막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었지만 잠시 그때 그 시절을 회상했다. 

과거 농업을 주업으로 했던 우리네 고향에는 쌀을 생산하는 논과 각종 곡식과 채소를 경작하는 밭이 있었는데 유독 참외와 수박밭에만 원두막이 있었다.

밥 한 끼 제대로 먹기 힘들었던 배고픈 시절에 참외나 수박은 매우 소중한 먹거리였고 특별히 조리하지 않고도 즉석에서 먹을 수 있었다. 그래서인지 자연스럽게 수박이나 참외밭은 동네 개구쟁이의 주된 공격 목표가 됐다.

밭 주인은 여름 내내 그들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해 원두막을 세웠고 밤에도 그곳을 떠나지 않고 기거했다.

그러나 그 시절의 원두막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 할 정도의 높은 곳에 설치돼 침입자를 발견한다는 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특히 야간에는 더욱 그랬다. 신병훈련소에서 배웠던 야간관측 요령에는 낮은 곳에서 공제선을 바라보는 것이 원칙인데 높은 곳에서 어찌 침입자를 식별할 수 있었을까.

게다가 밤에 등불이라도 밝히고 나면 원두막에서는 밖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전혀 확인할 수 없다. 반면 개구쟁이들은 원두막 위의 모든 상황을 무척 쉽게 바라볼 수 있기에 참외나 수박을 따서 먹곤 했는데 먹을 만큼만 몇 개 땄을 뿐 더 이상의 욕심은 없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어찌 보면 모두 배고프던 시절 돈 한 푼 없는 동네 꼬마들을 위해 어느 정도의 손실을 감내할 수 있는 아량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생각되는 부분이다.

이제 원두막을 바라보던 시골 소년이 공직자가 돼서 원두막을 바라보는 입장이 아니라 그곳에 등불을 밝히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주목을 받는 위치로 바뀌었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공직자들의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은 그대로 국민의 관심사가 되는 오늘날에는 더욱 원두막 위에 올려진 나 자신을 생각하면서 공직자는 성직자와 견줄 정도의 투명성과 도덕성을 지녀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벽에도 귀가 있다”는 속담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이제 세상에서 영원히 지켜질 비밀은 없는 세상이 됐다.

다소 혼탁했던 시절에 청렴한 공직자는 특별한 사례로 소개되기도 했으나 이제 청렴은 선택이 아닌 필수 덕목으로 일반화됐다. 오늘도 원두막에 올려진 나 자신을 생각하며 하루하루를 겸허한 마음으로 청렴한 공직자가 되기 위해 노력을 다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