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규 검찰총장이 회식 자리에서 기자들에게 돈봉투를 추첨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김 총장은 법조 기자들 24명과 함께한 자리에서 50만 원이 든 봉투를 포함해 기자 10명에게 500만 원을 돌렸다고 한다. 검찰은 이번 사태에 대해 김 총장이 저녁식사가 끝날 무렵 추첨 이벤트를 제안했고 이에 따라 번호가 적힌 종이 한 장씩을 건네받은 기자 중 당첨된 기자들에게 돈봉투를 전했다고 밝혔다.

언론사 기자들이 취재원과 금품수수, 향응 등으로 밀착돼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는 관행으로 굳어졌다. 물론 취재원과의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하지 않고 철저하게 원리·원칙에 따라 국민에게 알권리를 제공하는 떳떳한 기자들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검찰총장 돈봉투 사건’은 언론과 취재원과의 밀착 관계를 넘어 기자들의 자질에도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라는 따가운 시선을 피하기엔 어려워 보인다.

과연 회식 자리에서 추첨된 ‘봉투’의 의미를 최고의 엘리트라 자부하는 기자들이 몰랐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권-언 유착 고리를 끊지 못하면서 사회 부조리를 고발하고 국민의 알권리를 제공한다는 소명의식을 가졌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고 본다.

취재원과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어떻게 제대로 된 취재가 나오며 이로 인해 전해지는 소식들이 진실하다고 할 수 있겠는가.

회식 자리의 성격이 김 검찰총장과 각 언론사 법조팀장들의 상견례 자리라고 보기엔 다소 무리가 있지 않나 싶다. 물론 상견례 자리인 회식에 대해 가타부타 말할 성격은 아니지만 결론적으로 부패로 이어질 수도 있는 암묵적 동의를 구하는 자리였기에 말들이 많은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김 총장은 청문회 때부터 위장전입, 이중소득공제, 근무시간 미인대회 심사 등으로 자질 논란이 일었던 인물이었기에 이번 처신 역시 매우 부적절했다는 평가다.

동석한 언론인들 역시 도덕적 책임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돈봉투 사건’은 일부 언론이 기사화시키겠다고 하자 그제서야 받은 돈을 ‘기부하자, 돌려주자’는 상황이 됐다는 것은 결국 기자들도 포괄적 뇌물 수수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돈봉투에 대한 사과와 해명은 김준규 검찰총장뿐 아니라 당시 자리에 함께한 언론인들도 함께해야 한다. 이번 ‘돈봉투 사건’ 이후 더 이상 권-언 유착으로 국민들의 알권리가 훼손당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길 바란다.

국민들은 ‘언론이 바로서야 국가가 바로 선다’는 말이 더 이상 구호로 나오지 않고 현실에 접목되는 그날이 하루 빨리 오길 바라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