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경력 단절 예방 제도 필요”

[천지일보=김예슬 기자] 청년 여성의 경력 단절을 막기 위해 연령대에 맞는 다양한 제도 마련 및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일찍 노동시장에 진입하지만 결혼, 출산 등 주변 환경에 영향을 더 많이 받아 30대로 넘어가면서부터는 직장을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

이는 여성의 경력 단절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다. 특히 이공계 전공 여성의 경우에는 대학 졸업 후 취업에서부터 어려움을 겪는 등 고용 여건이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택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교육개발원의 ‘2013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 연계 취업통계조사’ 등을 활용해 15일 발표한 ‘청년 여성의 연령별 취업 특성과 이에 따른 지원방안’에 따르면 전문계고를 졸업하고 취업할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취업률이 높고 고용의 질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학력층으로 갈수록 여성 취업률은 남성보다 낮았다. 특히 고등교육기관 졸업생은 전문대와 교육대를 제외하고 대부분 여성이 남성보다 취업률이 저조했다. 교육대학 취업률은 남녀가 72%로 동일했으나 산업대 취업률은 남성이 64.9%, 여성이 58.8%, 일반대학원은 남성이 68.9%, 여성이 58.5%로 격차가 컸다.

계열별로는 공학계열과 자연계열에서 남녀 취업률 격차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원은 20~24세 여성 집단의 대졸 직후 노동시장 이행 여건 개선을 위해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여성과기인의 취업을 돕는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ET) 등을 적극 활용해 이공계 대졸 여성의 노동시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또 “25~29세 여성의 경우에는 동일 연령대의 남성에 비해 비교적 좋은 고용 여건에 처해있어도 결혼이나 출산 등의 이유로 일을 그만둬 30대로 접어들면서 최저 고용률을 기록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며 “이미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정책도 중요하지만 경력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미 마련된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숙명여자대학교 이영민 교수는 “학생들이 대학교 취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정보를 가장 처음 접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센터 직원들이 행정직원들로 이뤄진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역량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성차별적인 관행이 여전히 기업들에 남아있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에서 ‘적극적 고용개선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이 크지 않다. 이를 개선한다면 여성고용에 대한 부분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는 정부가 고용상의 차별을 해소하거나 고용평등을 촉진하기 위해 공공기관과 근로자 500명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남녀근로자와 관리자 현황을 분석한 뒤 평균 여성 고용 비율 및 평균 여성 관리자 비율을 산정, 평균치의 60% 미만 사업에 대해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이행될 수 있게 관리·감독하는 것을 말한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경우 50인 이상이었으나 작년 5월부터 모든 공공기관으로 확대했다”며 “현재 남녀근로자 현황 및 관리자 현황을 제출하지 않을 시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전문 심사위원단을 통해 개선계획에 대해 감독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