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체중 관리 위한 사회·정책적 지원 필요”

[천지일보=김민아 기자] 우리나라 20~30대 초고도비만 유병률이 10여 년간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02~2013년까지의 일반건강검진 자료 1억여 건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에 초고도비만율은 0.2%에서 0.5%로 12년간 2.9배 증가했다. 고도비만율도 2.5%에서 4.2%로 1.7배 상승했다.

비만도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체질량지수(BMI)로 산정한다. 고도비만은 BMI≥30일 때, 초고도비만은 BMI≥35일 때를 기준으로 한다.

2013년 기준으로 여성 중 초고도비만자 비율(0.50%)은 남성(0.47%)보다 높았지만 고도비만의 경우 반대로 여성(3.7%)보다 남성(4.7%)이 더 흔했다. 연령별로는 20대 남성(0.9%)과 30대 여성(0.7%)의 초고도비만율이 가장 높았고 고도비만은 30대 남성(7.1%), 60대 여성(5.0%)에서 많았다.

2002년 대비 증가폭도 20~30대 남녀가 가장 높게 집계됐다. 특히 30대 여성의 경우 초고도비만율이 0.11%에서 0.69%로 무려 6.3배나 치솟았다. 30대 남성의 경우도 0.16%에서 0.79%로 4.9배 증가했다. 고도비만율 상승폭은 30대 여성 3배, 20대 여성 2.8배, 30대 남성 2.3배, 20대 남성 2.2배 순으로 조사됐다.

거주지역별로는 2013년 기준 농어촌 지역의 초고도 비만율이 0.47%로 중소도시 0.46%, 대도시 0.42%보다 높았다.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는 “20~30대의 고도비만이 급속이 늘어난 원인은 1980년대를 거치면서 국내에 패스트푸드가 급속히 보급되고, 자가용 이용률 증가로 신체활동이 감소되는 등의 사회·문화적 변화 때문이다”고 분석했다.

이어 “1980년대에 비만 위험요인에 노출된 청소년들이 성인이 되어도 스스로 조절이 불가능한 고도비만을 겪게 됐다”며 “이는 청소년 때부터 비만을 관리하기 위한 사회·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조언했다.

건보공단 김종대 이사장은 “비만 관리를 위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비만관리대책위원회를 운영하겠다”며 “원스톱 비만 관리 종합사이트 구축, 개인맞춤형 비만관리프로그램 및 인센티브 제공 등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