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병 정치평론가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가 ‘국민공감혁신위원회(비대위원회)’를 이끌 인물을 외부에서 영입하겠다고 밝혔다. 스스로 비대위원장직을 사퇴하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늦었지만 당연한 귀결이다. 이미 두 차례나 여야 원내대표 간 합의를 번복한 마당에 더 이상의 지도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당내 갈등과 불협화음은 이미 바닥까지 간 상태다. 일각에서는 원내대표직도 내놓아야 한다는 지적이 있지만 정기국회 회기 중이며 세월호 특별법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이유로 거기까진 아닌 모양이다. 비대위체제를 조속히 그리고 제대로 출범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박영선 원내대표의 결단은 일단 적절하다.

비대위 안에 비상이 없었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비대위원장으로 추대될 때 ‘독배’를 드는 심정이라고 말했다. 매우 시사적인 메시지가 담겨 있었다. 박 대표는 새정치연합의 당내 현안이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을 직시하고 있었다. 더욱이 자신이 그 해법을 제시할 적임자가 아니라는 사실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독배’를 드는 심정이라고 말했던 것이다. 그의 판단은 옳았다.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박 대표는 수차례 독배를 들었다. 그 결과 스스로 비대위원장직에서 하차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비대위체제의 비극은 여기서 끝날 것 같지가 않다.

박영선 원내대표가 “정치와 정당개혁에 학문적 이론을 갖추고 계시고 현실정치에 이해도가 높은 분의 영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한 것을 보면 특정 인사를 구체화시키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아직 새 비대위체제가 구성되지도 않았기에 이에 대한 평가는 다음 기회로 미루자. 다만 아쉬운 것은 누가 비대위원장을 맡더라도 그 속에 ‘비상’의 절박하고 절실한 긴장감이 별로 없다는 점이다. 말만 ‘비대위체제’일 뿐, 달라진 것은 거의 없다. 좀 더 냉정하게 말하면 ‘비대위체제’가 아니라 비대위를 빙자한 ‘시간끌기용 관리체제’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혹 외부인사를 영입한 새 비대위체제도 박영선 비대위체제의 연장에 불과한 것은 아닌지 우려될 뿐이다.

비대위체제에 당 혁신의 전권을 주자니 당내 다수파인 친노그룹이 반대하고, 관리형 체제로 가자니 ‘비상한’ 긴장감이나 혁신의 알맹이가 없다는 점이 새정치연합 비대위체제의 최대 딜레마가 아닌가 싶다. 어쩌면 그 절충점으로 친노그룹이 인정하는 외부 전문가가 비대위 체제까지 꿰차는 것은 아닐지 모르겠다. 그러나 어떤 경우든 친노그룹은 크게 걱정하는 분위기가 아니다. 새 비대위체제의 운명 또한 친노그룹의 손에 달려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누가 와도 비대위체제는 곧 관리체제에 다름 아닐 것이다. 그래서 희망을 말하기엔 여전히 어렵다는 뜻이다. 새정치연합의 진짜 혁신은 아직도 멀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