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덕 시인(서울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서울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207번지에 있는 홍릉수목원의 46만 2809㎡ 안에는 서울시 산림청, 산림과학원 대형 건물이 14개 동이 자리하고 있다. 14개 동 중 어떤 건물은 지층을 포함해 무려 7층 건물도 있고 평균 지층 포함해 6층 건물로 이뤄져 있다. 나무들을 베어내고 건물들을 지었으니, 앞으로도 다른 산림청 건물이 불쑥 들어설지도 모른다며 사람들은 걱정하고 있다.

92년 동안 홍릉수목원 주중폐쇄, 입장금지를 해놓은 것은 산림청ㆍ산림과학원이 14개동 건물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홍릉수목원을 찾는 시민들은 하나같이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현재 청와대 대지 면적은 22만 8099㎡, 대전 정부청사는 49만 5867㎡이다.

그럼 우리나라 국정을 논하고 있는 대전 정부청사 대지와 맞먹는 청사를 가지고 있는 홍릉 산림청사, 홍릉 산림과학원이 과연 대한민국 국민에게 이익이 되고 있는가. 그렇다면 어느 한 곳에 몰아주는 전형적인 관피아의 폐단은 아닐까. 홍릉수목원 산림청사를 두고, 온 국민들은 그리고 서울 시민들은 한결같이 갖은 불만을 다 쏟아 내고 있다.

홍릉수목원은 일제강점기인 1922년 당시 농업대학교에서 나무 심기를 강행했고 홍릉에 거주하던 사람들을 강제로 이주시켰다. 그리고 우리 국민들의 강제 노동력을 동원해 일본 나무들을 심기 시작했다. 일본이 나무 품종의 개량과 육성, 품종의 보호를 위한다는 이유에서 일반인 출입을 금했었다.

그 이유가 산림의 형태로는 타당하겠지만 현재에 이르러서까지 일반인의 접근을 통제하는 일재잔재를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자신들이 근무하는 날에는 출입을 금하고, 근무를 하지 않는 휴일에는 출입을 허용하는 모습을 보면 산림내의 관리를 위해 평소에 출입을 통제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무려 3개월 동안 ‘홍릉수목원을 이제는 국민들 품으로 돌려보내 주세요!’라는 민원을 청와대를 비롯해 국민신문고, 서울시청, 산림청, 동대문구청, 새누리당, 새정치민주연합 등 여러 기관에 민원을 수차례 냈지만 산림청 기관이라 그곳에서 해결하라는 답변만 받았을 뿐 홍릉수목원을 이제는 국민 품으로, 서울시민 숲속 공원으로 돌려주겠다는 어떠한 답변도 없다.

수목 관리를 위해 주말에만 출입을 허용하는 산림청의 모습에서 우리는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산림청에겐 관리란 나무 심어 놓고 죽으면 캐어내고, 베어내고 이를 이용하는 시민에게 나무가 시들고 고사한 어떤 이유도 설명하지 않는 그들의 산림청 권리만 있고 산림의 어떠한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전형적인 ‘철밥통’의 폐해를 엿볼 수 있다.

또한 국유지를 테니스장, 숲 한복판에 있는 주차장 등을 무릉도원처럼 이용하고 있는 모습도 놀랍기만 하다. 비무장 지대를 연상케 할 만큼 산 입구를 아예 입산 금지를 해놨다.

산림청이 쳐놓은 주중폐쇄, 접근금지는 동대문구 청량리 경제를 옭아매고 있다. 이것은 마치 내전이 일어나고 있는 전쟁터 지뢰를 밟는 듯하다며 산림청 처사는 해도 해도 너무 한다고 동대문구 시민들의 화와 불만은 이미 하늘을 찌르고 있다.

그들의 산림청 대형 건물들은 무려 14개동이나 되니, 그 건물들을 감추려고 그들만의 산림청 홍릉왕국을 즐기기 위해서는 더더욱 홍릉수목원 완전개방을 결사반대하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다들 거기서 무슨 산림연구를 하는 건지 모르겠지만 정작 산림연구를 했으면 제주도 구상나무는 거의 집단으로 폐사하게 놔두지는 않았겠다. 제주도 구상나무를 집단으로 폐사를 지켜보는 것은 산림청 처사는 이미 산림연구에 신경이나 쓰고 있는지 도통 알 수가 없다.

이제는 산림청 행정은 대전 정부청사로 내려가고 국민이 요구한 홍릉 산을 관리만 할 수 있는 최소한 인원으로 남으면 된다고 생각한다. 이제는 국민에게, 서울시민에게 홍릉산을 서울 시민에게, 그리고 서울시민 숲속 공원으로 돌려줘야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