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광철 한국문화콘텐츠연구소 소장

 
한옥의 온돌이 특별한 점은 우선 불을 때는 장소와 난방공간이 구별돼 있다. 다음으로 난방을 하는 열로 취사를 함께해 열효율이 높다. 마지막으로 환경적으로 뛰어나다. 서양의 페치카는 실내공간에서 직접 불을 때기 때문에 직접적인 열을 받고, 재가 날려 실내공간이 지저분하고 연기로 인한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 실내의 상부공간이 덥지만 바닥은 차가워 신발이나 덧신을 신고 사용해야 한다. 온돌문화와는 다르고 불편한 점이 있다. 온돌은 효율적이면서 불을 때는 곳과 실내가 구분돼 있어 생활하기 좋다. 난방공간이 쾌적하다.

우리나라에 아파트 문화가 들어와 한옥은 사라졌어도 온돌문화는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처음 우리나라에 아파트가 들어왔을 때 서양식 난방을 했다. 보일러에서 물을 덥힌 물이나 증기를 실내로 끌어들여 따듯하게 하는 방열기라는 것을 사용했다. 방바닥이 차가워 온돌을 사용해본 사람은 불편하다. 실내공기는 따뜻한데 좌식을 즐기는 한국인에게는 맞지 않았다. 지금은 아파트도 모두 방바닥이 따뜻한 온돌방식의 난방을 하고 있다. 처음에 아파트를 시공한 사람들은 라디에이터라고 공기예열 방식의 난방을 사용했다. 선진장식이라고 광고까지 했다. 하지만 입주한 사람이 사용해보고는 하나둘 다시 바닥 난방으로 고쳤다. 지금은 다시 시공업자들도 모두 구들형식의 바닥 난방으로 시공하고 있다.

다음으로 난방을 하기 위한 불 때기인데 이 불로 밥을 짓고, 찌개를 끓인다. 소죽도 끓이고 엿을 골 때도 사용한다.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열효율이 뛰어나다.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장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언급한 환경문제도 그렇다. 온돌에는 부넘기가 마련돼 있다. 부넘기가 하나가 아니라 세 개나 있다. 불을 때는 입구에 마련돼 큰 먼지가 가라앉는다. 온방을 하고 난 공기가 방바닥을 덥히고 나가는 곳에 또 하나의 부넘기가 마련돼 있어 잔 먼지가 가라앉는다. 그리고 굴뚝을 빠져나가는 곳에 마지막으로 부넘기가 있어 미세한 먼지가 가라앉게 돼 있다. 그래서 시골에서 밥을 짓는 저녁이 되면 향기로운 나무 냄새가 마을을 뒤덮는다.

마루는 더운 지방의 남방문화 방식이다. 온돌은 추운 지방의 북방문화 방식이다. 이 두 문화가 한반도에서 만나 절묘한 조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한옥은 완전한 실내공간인 방은 온돌이고, 외부와 접촉하고 있는 공간은 마루로 만들어져 있다.

마루는 바람을 받아들이는 열린 공간으로 개방성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 온돌문화는 정주를 기본으로 하는 좌식문화로 폐쇄성을 가지고 있다. 온돌은 돌을 데워 난방을 하는 특성으로 밖으로부터 공기를 차단해야 실내가 따뜻해진다. 자연스럽게 폐쇄적인 문화형태를 만들어낼 수밖에 없다. 그래서 방은 친족만이 들어가는 공간이다.

한옥의 위대한 점은 문화와 문화가 만나는 공간을 만들었다는 것도 있지만 개방과 폐쇄를 절묘하게 조합해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개방과 폐쇄를 무게로 계산한다면 6:4 정도로 개방에 치중돼 있는 것이 한옥이다. 개방성은 마루라는 공간으로 대표된다. 지금 온돌은 세계화돼 가고 있다. 한국 고유의 난방문화인 온돌이 요즘 세계의 난방방법에 변화를 이끌고 있다. 공기를 데우는 대류난방 방식을 사용해오던 독일·덴마크 등 유럽 국가들이 온돌과 같은 축열식 바닥 난방을 도입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에서는 한국형 온돌 아파트가 카자흐인이 입주하고 싶은 저택이다. 일본에서는 신축건물의 절반 이상이 온돌을 선택하고 있다. 에너지가 절약되고 건강에 좋다는 것이 입증되면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