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총선’으로 불렸던 7.30 재보궐선거가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났다. 새누리당에선 ‘대첩’이라고 부를 정도로 완승이었다. 당장 김무성 대표체제는 탄탄대로를 달리게 됐다. 당 운영에 힘이 실리고 여야관계에서도 확실한 자신감을 얻게 됐다. 그리고 국정위기에 몰렸던 박근혜 대통령도 다시 심기일전할 수 있는 동력을 얻은 셈이다. 이처럼 여권은 위기를 다시 기회로 만들 수 있게 됐다. 민심을 얻는 것보다 더 큰 자산은 없다.

반대로 새정치민주연합을 비롯한 야권은 당분간 극심한 갈등과 혼란에 휩싸일 전망이다. 당장 새정치연합 지도부가 총사퇴를 결의했다. 박영선 원내대표 중심의 ‘비대위 체제’로 가기로 했다. 또 비대위로 가야 하는 새정치연합의 운명이 참으로 안타깝고 고달프다는 생각이다. 김한길 대표체제 역시 이전의 비대위 체제가 탄생시킨 강력한 지도체제였다. 그러나 얼마 못 가 위기에 봉착하자 안철수 의원 측과 합세해 지금의 새정치연합을 탄생시켰던 것이다. 그런 그가 다시 비대위 체제를 만들고 물러나는 모습이 예사롭게 보이질 않는다. 비대위도 자주 하면 비대위답지가 않다. 긴장감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오늘의 민심은 내일의 일을 담보하지 않는다. 지금은 새누리당 압승이 대첩이라며 축하할 수 있지만 그 축배가 어느 순간 독배가 될 수도 있는 것이 정치의 세계다. 특히 이번에 민생에 대한 여권의 대응은 강력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나선 것도 타이밍상으로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자칫 말로만 끝난다든지 아니면 그 체감효과가 밋밋하다면 민심은 금세 돌아서기 마련이다. 세월호 국정조사도 언제까지 협상만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안정 과반의석을 준 민심에 화답하는 것이 무엇인지 새누리당 지도부는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그래야 김무성 대표체제도 안전운항을 할 수 있으며, 차기 총선도 그런 바탕 위에서 치를 때 승산이 있을 것이다. 자칫 오만하고 편협한 권력의 무한 질주로 치닫지 않길 바란다.

새정치연합은 정말 긴 터널 속으로 들어가는 듯한 느낌이다. 솔직히 말해 끝이 보이질 않는다. 지도부 총사퇴로 풀 수 있는 문제인가 싶은 생각도 든다. 당내 고질적인 분파와 극단적 반목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누가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답을 찾기 어렵다. 그러나 다시 비대위 체제로 간다고 하니 불편한 기대일망정 두 가지만 짚어보자. 첫째, 가장 강력한 지도부를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헐렁한 바지를 입고 전투에 나설 수는 없다. 둘째는 현역의원들, 당협위원장들이 손에 쥐고 있는 가장 강력한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한다. 그래야 혁신의 진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처럼 정말 뼈를 깎는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그게 아니라면 또 ‘말뿐인 혁신론’만 반복하게 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