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욱 역사 칼럼니스트

 
1645년, 북경을 점령한 청왕조의 통치자는 한족의 천하를 오랫동안의 군사적, 정치적 노력을 통해 빼앗았다고 생각했다. 청왕조의 위업은 1680년대 초, 강희제(康熙帝)가 삼번(三藩)을 평정하고, 대만의 정(鄭)씨까지 무너뜨린 시점이 정점이었다. 만주족의 정권이 공고해지기까지는 명의 북쪽 국경을 위협하던 준비단계에서, 입관 이후 명의 구체제를 활용하고 조정하는 시험단계를 거쳐, 마지막으로 한족과 만족을 융합하는 통치방식을 절묘하게 적용한 정치체제가 완성되었다. 이러한 통치방식에 따라 만주족과 한족은 모두 청의 조정이 최고의 권력을 장악했다는 현실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이 권력은 과거에 누구도 보유한 적이 없었던 새로운 형태였다.

만주족 통치자에게는 유가의 군주제도를 발전시킨 한족의 도움이 필요했다. 각자의 이질적인 체제를 유지해온 두 민족이 어떻게 협조하며 통치체제를 완성하느냐가 관건이었다. 누르하치는 여진의 귀족이었지만, 명왕조의 국경 바깥에 거주하는 백성에 불과했다. 그들은 북방에서 몇 개의 성을 함락하자, 한족 출신만으로 ‘8기군(旗軍)’을 편성하여 요동(遼東)의 군호(軍戶)로 충당했다. 만주인은 그들에게 총과 대포를 사용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해적과 대항하는 역할을 맡겼다. 명의 고관들에게 후한 녹봉을 주자, 도르곤이 북경을 점령할 때 수많은 북방의 향신들이 협조했다. 이들은 청왕조의 선전요원이 되어 남방을 무혈점령하는 데 기여했다. 일부 한족들은 만주족의 포용정책을 의심했다. 만주족 가운데에도 한족과의 합작을 꺼리는 사람들이 많았다. 만주족 황제는 기로에 서게 되었다. 완전히 한족의 전통적인 방식에 따라 통치하면 한족으로 흡수될 수밖에 없을 것이며, 만주족의 충성과 사랑마저 잃을 수도 있었다. 결국 그들은 합작한 한인과 함께 유가적 방식으로 통치하게 된 것에 감개무량한 것처럼 가장하고, 명왕조에 반란을 일으킨 자들과 구차하게 목숨을 구걸하는 자들을 무시하며 매국노로 매도했다.

쌍방의 화해로 만주족이 통치하는 평화의 시대가 열렸다. 18세기 중국은 역사상 가장 강성한 시기였다. 그에 따른 직접적인 대가는 모종의 도의상 불안이었다. 청왕조에 힘을 보탠 한족은 명왕조 말기의 허황된 도덕적 영웅주의를 포기했다. 그에 따른 보상은 각종 정치개혁을 실행할 수 있는 현실적 기회였다. 이러한 개혁은 중앙정부의 작용을 안정시켰다. 숭정제시대에 정치권을 겉돌던 문인학사들로서는 꿈도 꾸지 못할 일이었다. 만주족과 합작한 한족 지식인들은 만주족의 권력에 가담하여 도탄에 빠진 백성들을 구함으로써 유자(儒者)의 사명을 실질적으로 완수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러나 지난날 자신이 표방했던 사회적 이상주의자로서의 자신감은 상실했다. 이러한 불안감은 2가지 결과를 초래했다.

첫째는 이성적 자주의식과 도의적 승인을 포기하고, 어용 문인으로 바뀌어 정치적 지도자가 될 수 있는 조정의 관료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미였다. 둘째는 개혁의 열기를 점차 증강하여 조정의 역량이 17세기 세계적인 경제위기를 빨리 극복할 수 있도록 협조하려는 시도로 귀결됐다. 타협은 어중간한 선에서 마무리됐다.

부흥은 철저하지 못한 상태에서 진행됐다. 그러나 왕조 질서의 중건은 결국 과거의 통치체제를 새로운 시대에도 이어갈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다. 만주족은 독특한 방식으로 전통적인 제국의 제도를 중건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그들은 오랑캐라는 멸시를 받았지만, 자기들이 설계한 유효한 조치로 중원의 왕조가 당면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청의 ‘홍업(洪業)’에 대한 한족의 심리는 매우 모순적이었다. 그들은 이민족 왕조가 안마당에서 단단한 통치체제를 유지해가는 것을 지켜보는 현실주의를 선택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