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보훈지청 보훈과 박수라

 

7월 27일은 유엔군 참전의 날 이라고 한다. 1번국도를 자주 지나다니면서 오산에 있는 UN군 초전기념관을 언제 한번 꼭 가봐야지 생각만 여러번 했는데, 지난 주말 드디어 아이들과 함께 나들이 겸 기념관을 방문하였다.

어린 아이들이 유엔군에 대해 자세히는 몰라도, 그저 우리나라 대한민국이 이렇게 평화롭게 있기까지 도와주신 고마운 분들이라는 인식은 심어주고 싶었다. 멀고 먼 나라에서 대한민국이라는 이 작은 땅덩어리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목숨을 내놓고 오신 분들. 특히 우리가 방문한 기념관은 유엔이 대한민국 땅에서 처음 전투를 치른 곳에 세운 기념관이라고 하니, 그 의미가 더욱 깊다.

1950년 7월 5일 오산시 죽미령 전투는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이 38선 전역에서 불법 남침하여 수도 서울을 3일만에 점령, 한강을 도하하여 남쪽으로 쳐내려오던 거칠 것 없던 발걸음을 한 호흡 멈추게 한 전투였다. 6시간 15분간 공격의 흐름을 차단, 천안선에서 퇴각하던 국군이 재집결 할 수 있었고, UN군은 무기와 병력을 부산으로 상륙, 전선으로 보내는 데 필요한 절대적인 시간을 벌어 주었다. 또한 이 전투는 유엔군과 북한군과의 첫 전투로, 미군 또는 유엔군의 참전을 고려하지 않은 소련으로 하여금 전쟁계획을 다시 재검토하도록 했다.

죽미령 전투는 165명의 희생으로 개전 초기 가장 소중했던 재편성의 시간을 벌었던 전투, 이후 낙동강 교두보를 지키는 데 결정적 지연전을 펼친 전투인 만큼 우리는 그 희생과 그 역사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정전협정을 맺은지 61년이 지난 현재 대한민국은 연합국의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국민총생산 세계 15위, 무역 규모 세계 8위의 경제 강국으로 원조를 하는 나라로 탈바꿈했다. 이런 상황은 얼핏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하고 전쟁이 끝난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을 갖게 하기도 한다.

그러나 정전이란 전쟁을 완전히 마무리 지은 것이 아니라 전쟁을 멈추었다는 의미이다. 즉, 전쟁이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니란 이야기다. 포성이 오가던 6ㆍ25전쟁을 몸소 겪어보지 못한 국민들은 이와 같은 정전협정의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전쟁이 끝난 것으로 착각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게다가 역사교육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는 지금 6ㆍ25 전쟁이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모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니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조국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한 참전용사의 수가 14만명,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대한민국에 참전한 21개국 193만명의 UN참전용사 중 다시는 고국의 땅을 밟지 못한 용사들의 수만 5만명이라고 한다. 정전협정일은 이와 같은 참전용사 분들은 물론 UN참전용사들의 공헌과 희생을 기리는 날이다. 정전협정일은 유엔 참전국 기념일로도 지정돼 있기 때문이다. 이날에는 국민들에게 올바른 정전에 대한 인식과 유엔 참전국 용사들에 대한 감사의 의미를 알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행사를 실시하는데, 국가보훈처는 정전협정 및 유엔 참전국 기념일 61주년 행사를 통해 UN참전용사들을 초대해 그 분들의 뜻을 기리고자 한다.

통계에 의하면 북한의 정전협정 와해시도는 매년 평균 40건 넘게 이어졌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전 상황을 넘어 나아가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정전에 대한 확실한 이해와 더불어 미국은 물론 참전했던 UN회원국들과의 굳건한 동맹이 필요하다. 또한 6ㆍ25 전쟁의 의미와 상황을 다시 돌아보고 현재의 안보의식을 제대로 판단해 미래에는 이러한 역사의 아픔을 다시는 겪지 않도록 자라나는 세대에게 안보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바르게 알 수 있기 위한 역사교육을 강화해야 할것이다. 평화는 과거를 알고 미래를 대비하는 자가 얻을 수 있는 특권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