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춘태 중국 월수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약 730만 명의 재외동포가 전 세계 180여 개국에 거주하고 있다. 그래서 재외동포재단 등 재외동포를 위한 국가 차원의 기관도 설립돼 있다. 하지만 정부 차원의 재외동포 인재 영입 실적은 미미하다.

현 정부 출범 초기에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가 재외동포라서 국내외적으로 관심이 컸던 적이 있다. 이는 국가발전에 훈풍이 되기 때문이다. 지금부터라도 재외동포 인재 영입에 관한 총체적인 틀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왜냐하면 재외동포를 적극적으로 영입해 활용하는 것은 미래지향적 국가의 성장 아이템이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인도, 중국 등 많은 나라에서 국외 자국동포 영입을 통해 국가발전에 기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G2로 고속성장한 중국의 경우 1990년대 중반부터 국적을 불문하고 국외 인재를 유치하고 있다. 이는 국외 인재 유치가 선진제도와 기술을 도입하는데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외국전문가국(SAFEA)이 혁신인재영입기지를 설립한 것과 바이두(baidu)가 미국의 인공지능 연구소 소장 ‘Andrew Ng’를 영입한 것이 그 한 예이다.

불과 30여 년 전만 하더라도 재외동포가 국익에 이바지할 것이라고는 생각하기 힘들었다. 그것은 편견과 오해로 빚어진 소치였다. 오늘날과 같은 글로벌 환경에서 국제결혼의 보편화, 세계 유동인구의 증가 등으로 재외동포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근대적 의미의 재외동포 형성은 1903년 시작된 우리 민족의 이민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따라서 근 110여 년 동안 국외에서 한민족의 뿌리를 내려 왔다. 이러한 현상은 거주국에 한국을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되고 있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국가 간 교류는 일방적인 전파나 지원보다는 상호교류와 협력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일방적인 것을 배제해야 하는 이유는 국수주의로 비쳐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한국의 성장은 동포 거주국과 상호 존중 및 이해를 통한 공존공영을 준거로 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재외동포들의 역할은 중요하며 이들 인재 영입은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급속한 세계화 시대에 적절한 재외동포 인재를 발탁해서 국가발전에 활용해야 한다. 국가 성장의 극대화는 국내외적으로 총체적인 역량이 결집돼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재외동포는 국가 성장 동력의 한 축으로 볼 수 있으며, 이들의 활용은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성장 엔진을 만들 수 있다. 이들이 가진 장점은 한민족이라는 정체성을 견지하고 있으며 현지의 정확한 정보로 국가발전의 방향타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돌이켜보면 한국의 성장 중심축은 인적 자원에 있었다. 그러므로 범정부차원에서 역량을 총동원해 재외동포 인재 등용 정책과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지나친 스펙 중심, 학벌 중심 등의 고질적인 조직 문화는 과감히 개선해 창조적 일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국가발전은 미래 성장 동력인 재외동포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진가를 발휘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