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연 화가

가을의 자연은 하나의 큰 화폭이다. 아파트 뒷산이 울긋불긋한 가을을 즐기면 노오란 잎들은 작은 가을 바람에 한둘 하늘을 맴돌다 떨어진다. 나무 하나 하나를 보면 복잡하지만 산이라는 전체를 보면 심플하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큰 산을 볼 때 산 속의 나무를 굳이 따질 필요가 없다.

MANIF에서 만난 화가들의 고민과 열정, 자신감도 산의 관점에서 보면 하나다. 작가 내면의 여러 요소들이 모여서 작가를 이룬다. 미술 시장은 어지럽고 예측불가하다고 말하는 것을 자주 듣는다.

어지러움을 만드는 사건은 여러 가지이지만 최근 이태리의 토리노 수의는 가짜라고 하고 강진군은 청자 허위감정으로 8000만원짜리를 10억에 매입하고 나중에 감정평가위원들을 고소하였다는 답답한 기사가 있었다. 그러나, 크게 보면 미술 세상은 하나의 큰 흐름 속에서 진화하며 움직이는 것이다. 피지 못한 꽃도 있고 너무 일찍 펴서 곧 시든 꽃들도 있다. 영원히 피는 꽃은 많지 않다.

“정부는 전업 작가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어느 잡지의 발행인이 주장한 글을 보았는 데 그 주장이 예술도 국가 보조금으로 지탱할 수 있다는 견해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여러 산업 분야에서 보조금 때문에 수많은 잡음이 일어난 사례들을 미디어에서 진절머리나게 듣고 보고 있는 지금 21세기가 돈이 없어서 그림을 못 그리는 시대인가를 조용히 자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무한경쟁의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경쟁력은 작가 스스로 알아서 갖추어야 한다. 좋은 작품에 대해서는 시장이 알아 주고, 고객들이 알아서 돈을 지불한다. 가난하다고 훌륭한 작품을 못 만든다고 하면 이는 핑계가 너무 많은 사회의 너무 핑계가 많은 분의 넋두리라고 아니 할 수 없다. 작가로서 그야말로 레오나르도 다빈치처럼 치열하게 작품 활동을 하지 않았다면 말이다.

한국인 CEO 수출 1호라는 인도 Videocon사의 김광로 부회장은 그의 자서전적 에세이 세계경영크레도에서 “내가 사는 곳이 곧 천국이다”라고 하였다. 오늘 현재, 내가 위치한 자리가 바로 천국인 것이다. 우리는 현재는 등한시하면서 자꾸 미래만 얘기한다. 그리고, 자기 탓보다는 남 탓을 더 한다. 그래서, 상황이 바뀌면, 은퇴 후에, 나중에, 때가 되면이라는 말을 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 행복하지 않은데 미래가 행복한가? 행복하려면 행복하지 않다는 마음부터 바꾸어야 한다.

르네상스 시대의 거장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진품 ‘르네상스 의상 차림의 젊은 여인’이라는 제목의 인물화(그림 속의 주인공은 밀라노 공작의 딸 비앙카 스포르자)가 새로이 발견된 것으로 전해지면서 미술계 안팎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는데 약 10년 전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19,000달러(약 2200만원)에 팔렸던 그 그림이 만약 다빈치의 작품으로 확인되면 그 가치는 1억 파운드(약 185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캐나다 예술 감식전문가의 지문 분석 결과, 그림에 찍힌 지문은 중지나 검지로서, 로마 바티칸 성당의 ‘성(聖)예로니모’에 찍힌 다빈치의 것과 매우 유사하다고 한다. 이러한 깜짝 놀랄 가치를 보며 훌륭한 작품의 비결은 치열한 작가정신에서 나오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미술 시장에는 이미 남의 도움보다는 작품성과 인간성으로 스스로 브랜드를 구축하고 크게 성공한 작가들도 많다. 2009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세계피겨선수권대회에서 피겨 여자싱글 랭킹 1위를 한 김연아의 코치인 브라이언 오서는 “김연아는 경쟁력이 있고, 공격적이며, 매우 치열하다.

그리고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스스로 잘 알고 있으며 동시에 이것들을 관중들과 공유한다”며 제자를 칭찬하였다고 한다. 보통의 선수들은 음악에 의존하여 손, 몸동작에만 신경을 쓴다는데 정교한 footwork(skating 기술)가 결국 점수를 가른다는 것을 아는 김연아가 남다른 연습으로 경쟁우위를 지키고 있는 것이다.

이를 미술에 비유하자면 훌륭한 화가가 되는 것은 시류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공격적이고 치열하게 정교한 handwork를 갈고 닦아야 하는 것이다. 그리하면 경쟁력이 저절로 생기게 될 것이다.

“막걸리로 계속 하겠다”는 하토야마, “맛있어요. 밥도 주세요” 하는 미유키와의 MB의 막걸리 외교, 김윤옥 여사의 김치 외교가 보도되었다. 그리고, 일본 총리 부부의 30분짜리 인사동 거리 투어도 있었다고 한다. 막걸리나 김치도 미술과 융합이 되면 더욱 강력한 외교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이제 문화와 예술은 산업과 생활과 별개가 아님은 국민 대다수가 인식하고 있는 터이다. 문화와 예술은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과 우리를 나타내는 가장 강력한 표현 수단이다. 최근 MANIF에서 만난 이광하 작가는 ”가장 한국적인 것이 프랑스 사람들에게 어필한다“고 하였다. 음식은 한 나라 문화가 전파되는 과정에 녹아 소개되어야지, 영양학, 맛을 따져 우수하다면 들이댄다고 되는 게 아니라고 한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 작가의 강력한 차별화 방법은 한국적 locality를 global 시장에 융합하는 것 밖에 없다. 이와 관련 농촌진흥청의 모 인사는 “한국음식 세계화는 단순히 음식 그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한식과 문화예술의 접점을 찾아야 한다”고 하였다. 미술도 마찬가지이다. 한국 미술의 경쟁력을 위하여, 영원한 꽃을 피우고자 오늘도 작업실에서 인생을 그리는 작가들이 귀담아 들어야 할 구절이다. 예술은 결국 치열한 삶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