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북경남변전소로 송전하기 위한 송전탑 및 송전선로 건설사업은 2002년부터 추진해온 국가 차원의 중요한 사업이다. 가뜩이나 전력이 부족하여 지난여름 제한 송전을 했던 정부 입장에서 본다면 전력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서는 하루라도 앞당겨 공사를 해야 할 판이다. 공사 구간 중에서 신고리-부산 구간인 1구간은 비교적 거리가 짧고 송전탑이 39기에 불과하여 탈 없이 해결됐지만, 송전탑이 집중되어 있는 밀양 지역은 주민 반대에 부딪혀 계획기간이 상당히 지체되고 있다.

2구간 123개의 송전탑 가운데 밀양지역에 69개가 건설돼야 하건만 주민의 완전한 동의를 받아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동안 주민들은 밀양 송전탑 공사와 관련하여 주민설명회 개최와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과정에서 형식적 하자와 내용상 오류가 있음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이에 한국전력은 공사를 위해 지자체에 대한 의견조회를 2003년 완료하였다고 발표하였으나, 밀양 5개면 지역주민들은 한국전력이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을 위해 주민설명회를 개최한 2006년에 가서야 최초로 해당 건설사업을 인식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문제가 된 주민설명회에는 지역 주민 2만 1069명 중 불과 126명(0.6%)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한전이 2008년 밀양지역 송전탑 공사가 시작된 후 지난해에는 주민의 분신자결 등 불상사가 발생했고, 지난 5월까지 모두 11차례나 공사 재개와 중단이 되풀이 돼 왔는데, 10월 2일부터 공사를 재개한 것이다. 주민들은 정부의 보상안도 거부한 채 공사를 가로막고 있다. 당연히 공사는 해야 하지만 정부는 밀양 주민들의 반대하는 점에 귀 기울이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지금까지 건설된 우리나라 대부분의 송전선로가 154kV이고, 일부만 345kV 송전선로이다. 밀양 송전탑과 같은 765kV 송전선로는 단 2개 노선뿐이다. 765kV 송전선로의 경우는 345kV 송전선로에 비해 송전용량이 5배에 달한다. 전압이 높을 경우 거리에 따른 자계강도 감소 효과마저 희박해짐에도 불구하고, 765kV 송전선로 건설에 따른 피해보상이 345kV 관련 규정에 준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문제가 되며 주민 동의에 설득력이 없다. 공사를 반대하는 주민의 상당수가 70∼80대의 고령이다. 또 공사 반대 주민 100여 명을 상대로 경찰병력 2천여 명이 동원된 것도 밀양 송전탑 건설을 힘으로만 밀어붙이려는 속셈이 아닌지 심히 우려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