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적극적 대응 촉구’ 한목소리, 1회성 아닌 지속적 관심 필요

간도협약 체결 100주년이자 ‘간도의 날’이었던 4일, 간도 되찾기 운동이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개됐다.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집회 및 궐기대회와 간담회 등이 펼쳐졌고 행사 주최는 달라도 지속적인 홍보와 연구의 필요성,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는 데 한 목소리를 냈다.

이날 오전 간도역사연구회 등 140여 개 민족단체로 구성된 ‘국민운동본부’는 간도영유권 회복을 위한 국민청원운동’을 전개했고, 간도반환 청구 소송을 국제사법재판소에 제기한 민족회의통일준비정부의 집회가 중국대사관 앞에서 있었다. 김영기 민족회의 대표는 집회에서 “국제사법재판소에 간도 영토문제를 정식 제소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음에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시도해 결국은 정식 제소하는 쾌거를 이루게 됐다”고 전했다.

한국간도학회가 주최한 간담회에선 우리 정부가 간도협약 무효를 중국에 통보하지 않은 채 60년이 지났다며 이제는 정부차원에서 입장표명을 해야 함을 강조했다. 또 대구 망우공원에 있는 항일독립운동기념탑 광장에선 교육용 백두산정계비를 제작해 간도에 대한 영토의식을 되새기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28일에는 여야 50여 명의 국회의원들이 공동 서명한 간도협약 무효 결의안이 제출되는 등 민간단체와 학회뿐 아니라 국회의원들까지 동참해 어느 해보다 간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됐다.

향후 간도 되찾기 운동에 대해 자유선진당 이명수 의원은 “1회성으로 끝날 사안이 아니다. 앞으로도 간도 찾기 운동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의정활동과 연계해 정부의 관심을 이끌겠다”고 말했고 경일대학교 독도‧간도교육센터 이범관 교수는 “매년 간도 자료전과 사진전을 통해서 국민들의 의식과 관심을 이끌어 낼 것”이라며 지속적인 간도반환 운동 계획을 다짐했다.

이상면 세계국제법협회 한국본부 회장은 “간도협약 100주년을 맞이한 우리는 할 일을 마음에 새겨야 한다. 간도를 더욱 열심히 연구해 중국의 전문가들에 대항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같이 간도문제가 공론화된 것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정부조차 외교적 차원에서 공식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가운데 간도반환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했던 민간단체들이 묵묵히 연구하며 홍보해온 숨은 노고가 있었다.

한 간도연구 전문가는 “5년 전만 해도 국민의 95%는 간도가 어디 있는 땅인지 몰랐다”며 “한국이나 일본의 어떤 섬 정도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했다. 하지만 지금은 ‘간도 붐’이 일어날 만큼 중요한 이슈가 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