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23일 고교 1∼2학년 재학생들에게 해당되는 ‘2015~2016학년도 대입제도’ 확정안을 발표했다. 내용에 따르면, 먼저 수능일이 현행보다 1주일 늦춰 11월 둘째 주에 실시하고, 대학별로 수시 4개, 정시 2개로 하는 등 대입 전형을 간소화했으며, 수시모집에서는 수능 성적  우수자에 대한 우선선발제도를 폐지했다. 또한 수능시험의 영어 A·B 수준별 수능 폐지와 함께 전체 문항은 45개로 동일하지만 영어듣기 문제를 5문제 축소한 17문제로 출제한다는 것이다.

학생부 기록에서도 세심한 분야까지 개선했는바 학생 관련 내용을 서술하는 글자 수를 한정하여 개인별 평가가 들쭉날쭉하는 것을 막는 한편, 교내 수상실적 기록 시에는 참가 인원을 병기하는 등 내용을 보완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잘 활용돼왔고, 학생들의 인지력과 개인별 능력을 종합평가하는 논술·적성고사를 가급적 시행하지 않도록 유도하겠다는 방침인데, 논술·적성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에 대해서는 교육부가 재정보조금 지원에 불이익을 주겠다는 것이다.

대학입시는 ‘교육의 백년대계’를 지향하는 근본이며, 고등교육의 결정(結晶)이다. 따라서 학생  부담을 덜어주면서 사회에 유익한 인재를 키우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하건만, 현재처럼 학생들의 적성을 무시하고 천편일률적인 잣대가 되다보니 대학 졸업 후에도 전공을 살리지 못한 채 취업에서 다른 직종을 선택하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이는 고교생들의 적성이 대학입시에 반영되지 않은 결과임에도 교육부는 “사교육에 의존하는 논술·적성고사가 학생에게 부담을 준다”고 변명을 하고 있다. 교육부가 내세우는 또 하나 이유는 “대학들이 지금까지 논술·면접고사 등을 실시하고도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높게 설정해 수능 성적이 좋은 학생을 뽑는 편법을 써왔다”는 것인데, 이는 교육부가 대학 입시 지도를 소홀히 했다는 점을 자인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대입제도에서 논술·적성고사 폐지를 유도한 교육부의 이번 방침은 제도 개악(改惡)인 것이다. 논술은 초·중·고 학생시절부터 풍부한 상상력과 논리적 사고를 갖게 한다. 학생들이 논술에 대비하면서 평소에 교양서적을 읽는 계기가 되고, 논술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글로써 정확하게 표현하는 등 통합적인 사고력과 표현력을 키운다. 이렇게 장점이 많은 논술·적성고사를 교육부가 ‘2015~2016학년도 대입제도’ 확정안에서 폐지 결정은 조령모개(朝令暮改)로 학생들의 창의력을 무시한 처사다. 학생들의 장래를 위해서라도 재고돼야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