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석한 연세신경정신과 의원 원장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가 제일 많이 호소하는 어려움은 아이와의 소통 부재다. 아이는 부모와 대화를 하지 않으려고 할 뿐더러 어쩌다 말을 나누게 되면 도무지 말이 안 통해서 결국 다툼으로 끝나게 된다.

부모는 자녀와 어떻게 대화를 해야 할까? 이 시기 아이들은 대개 짜증을 많이 낸다. 아이는 부모의 어떤 말이나 행동에 대해서도 신경질적으로 반응하거나 짜증 섞인 말투와 표정으로 행동한다. 예컨대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이 학생의 본분이니까 최선을 다해.”라는 부모의 말씀에 대해서 “이제, 그만 좀 잔소리 하세요. 내가 다 알아서 한다니까요? 엄마가 그렇게 말한다고 해서 제가 할 줄 알아요?” 등의 말로 대답하곤 한다. 부모 앞에서 욕설이나 무례한 표현을 혼잣말로 자주 보이고 한숨도 자주 내쉰다. 늘 화가 난 것 같은 표정도 보인다. 부모는 아이의 신경질적 태도에 대해서 언급과 지적을 하되 절대로 함께 신경질을 내거나 억압적으로 대해서는 안 된다. 자칫 잘못하면 서로 누가 이기는지 힘겨루기 상황이 벌어지고, 부모와 자녀 간에 더 큰 다툼으로 번져서 심리적 상처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에게 “엄마는 너에게 결코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너를 위해 가르치고 충고하는 것이야. 그런데 네가 너무 무례하게 화내면서 말을 하는구나. 그런 말투는 고치면 좋겠다.”라고 반응하자. 아이를 최대한 덜 자극하면서 부모의 훈육 책임을 잊지 않고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에 “너! 그런 식으로밖에 말하지 못해?”라는 식의 직접적인 비난은 아이에게 도발 욕구를 자극시켜서 더 큰 반항을 불러일으키기 쉽다. 아이는 “제 마음이에요. 엄마도 좋게 말하지 않잖아요.”라는 식으로 도전과 반항을 이어나갈 것이다. 냉소적인 아이들도 꽤 있다. 예컨대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이 학생의 본분이니까 최선을 다해.”라는 부모의 말씀에 대해서 “그렇게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교 나와 봤자 실업자 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에요. 우리나라는 경쟁이 치열해서 열심히 해도 안 돼요.” 등의 말로 대답하곤 한다. 이때 부모는 절대 아이에게 말려 들어서 이성을 잃거나 흥분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침착하게 은유와 풍자를 사용해서 대응해 주면 좋다.

가령 앞의 상황에서 “실업자 생활 오래 안 하는 사람들은 성실함을 갖추고 노력하는 사람들이야. 평생 실업자들은 별로 없어. 개미와 베짱이 알지? 베짱이도 노는 것 같았지만 사실 알고 보면 음악 연습을 열심히 한 것이야.”라는 말로 아이와의 대화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너는 왜 매사 그렇게 뒤틀려서 얘기를 하지?”라는 말을 하면, 아이를 비난하고 다그치는 셈이므로 아이는 대개 “저는 원래 그래요.”라면서 대화를 중단하고 다른 곳으로 사라질 것이다.

부모가 무슨 말을 하건 혹은 어떠한 질문을 하든지 간에 ‘모른다.’는 말로 일관하는 경우도 많다.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야단치거나 다그치는 대신 숨어 있는 아이 심리 상태, 특히 감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라. 또한 아이의 마음을 추정하는 말로써 아이 대신에 말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예컨대 “지금 얘기하기 싫구나. 화가 좀 난 것 같은데…” 등의 말로 아이의 감정 파악에 주력하라. 아이는 그래도 우리 부모가 나의 마음을 알아주려고 노력하신다고 생각하여 마음의 문을 열 것이다. 아이에게 한 번 더 물어보는 것도 필요하다. 아이가 모른다고 해서 곧바로 대화를 중단하면, 아이는 한편으로 부모가 자신에게 관심을 별로 주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번 더 질문해서 모른다고 하면, 여러 번 반복해서 물어보는 것 대신에 아예 질문을 나중으로 미루는 것이 더 좋다. 이는 아이에게 대답하라는 부모의 압박 대신 말하기 싫다는 아이의 마음을 존중해 주는 의미가 있다.

부모가 사춘기 아이와의 소통에서 가장 염두에 둬야 할 점은 ‘아이 마음의 존중과 이해’다. 즉, 나의 생각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마음을 알고자 함이니 이제부터 아이에게 다시 열심히 질문을 하라. 그리고 적극적으로 또한 공감적으로 아이의 말을 들어본다. 어느 틈엔가 우리 아이가 다시 부모와 가까워져 있을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