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2층 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스마트세계평화포럼 2013 Q&A가 이상면 천지일보 대표이사의 사회로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전영선 건국대(통일인문학연구단) 교수, 이동한 G20정상회의국민지원단 이사장,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최성 남서울대 교수, 와엘 고님, 이상면 천지일보 대표이사, 키란 발리 UN NGO URI 국제의장, Huang Pu Min 중국 인민대학 국학원 교수, Liu Hua Zhu 중국 북경대 교수.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이솜 기자]‘스마트세계평화포럼 2013’의 마지막 순서인 Q&A에서는 앞서 각 세션의 발제 내용을 토대로 나온 질문을 천지일보 이상면 대표가 대신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발제자들은 세계평화를 위한 한반도 통일의 중요성과 IT 기술과 평화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등에 대해 통찰력 있는 제언을 쏟아냈다. IT와 안보 등은 세계평화를 이루기 위한 도구일 뿐, 결국 평화와 통일에 대한 전 세계인의 염원과 노력을 모아야 한다는 주문이었다.

Q&A는 와엘 고님 Nabadat Foundation 대표, 키란 발리 UN NGO URI 국제의장,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이동한 G20정상회의 국민지원단 이사장, 최성 남서울대 교수, 리우 후아 주 북경대 역사학과 교수, 후앙 푸 민 중국인민대국학원 교수, 건국대 인문한국(HK) 통일인문학연구단 전영선 교수의 참여로 이뤄졌다.

◆“SNS로 문화 통일 노릴 수 있어”

이상면(사회) = 한반도 통일에 대해 반대 의견도 나오는 가운데 통일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짚어 달라.

안찬일 = ‘통일’하면 북한에서는 전쟁을, 남한에서는 재앙이라고 생각한다. 독일 통일에서 동·서독에게 똑같은 복지를 적용해 혼란스러운 상황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한 사람들은 복지에 대한 욕구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이에 맞춰 복지를 적용하면 혼란을 막을 수 있다. 또 전략적으로 볼 때 북한의 지하자원 가치는 약 8천 조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상면 = 통일과 평화에 대해 논할 때, 인터넷을 빠뜨릴 수 없다. 그러나 인터넷이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어떻게 통일과 평화를 위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가?

안찬일 = 한류문화가 SNS를 통해 북한에 충분히 보급되고 있다. 개성공단을 없애자는 강경파의 목적도 남한의 한류문화가 파급되는 것을 막고자 하는 부분도 있다. 이러한 것들은 물리적으로 막을 방법이 없다. 7~8년 후면 북한 사람들이 한류문화에 순응돼 통일에 가까운 체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안보 먼저” vs “평화 잊지 말아야”

이상면 = 이동한 이사장은 평화를 말하면서 안보를 강조했다. 안보는 통일에 있어서 꼭 필요하지만 한편으로 지나치게 되면 오히려 이를 저해할 수도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동한 = 남북 교류를 원한다 해도 북측의 강력한 지배 권력을 억제할 수 있는 통제력이 없으면 우리가 오히려 북측에 속하게 된다. 그래서 평화보다 안보를 먼저 논해야 한다는 것.

키란 발리 = 북한이 핵무기를 만들고, 군사력을 키우는 것은 곧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 사람들에게 평화를 느끼게 해 줘야 한다. 우리가 비폭력적인 방식으로 도움을 준다면 이들도 자신들을 돕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이상면 = 원론적인 답변이다.

키란 발리 = 나는 외부인이고, 한반도에 사는 사람만이 통일에 대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한반도를 넘어 전 세계 공동의 목표가 있다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는 것이다. 바로 ‘평화’다. 한국 사람들이 통일을 이뤄가는 과정에서 평화의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물을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우리 역시 이를 도울 것이다.

이동한 = 나도 키란 발리의 의견을 지지한다. 그러나 힘겹게 얻어낸 평화를 북측에 모두 넘겨주지 않으려면 안보가 전제돼야 한다는 것이다. 북측과 통일을 위해 끊임없이 교류했지만 20년간 북한의 핵무장을 막지 못한 점을 생각해봐야 한다.

◆“IT 기술, 평화 위한 도구일 뿐… 의식 바꿔줘야”

이상면 = 암울한 시대를 깨울 수 있는 것은 계몽이다. 오늘날 계몽의 도구는 IT 기술이라고 생각한다. 통일을 이루는 과정에서 IT 기술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최성 = 한국은 이미 IT 강국이지만 북한은 그렇지 않다. 남북한 모두 IT 강국이 됐을 때 통일을 이루는 속도 역시 더욱 빨라지게 될 것이다.

와엘 고님 = IT라는 것은 권한을 줄 수 있는 도구며, 큰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려주는 기술이다. 한국인들이 북한 사람들에게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려줘야 한다. 이 때문에 북한 지배층이 아닌 국민에게까지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해줘야 한다.

이상면 = IT 기술이 통일을 이루는 수단인가, 아니면 그 자체로 통일을 이룰 수 있는가.

와엘 고님 = IT 기술은 도구에 불과하다. 중요한 것은 IT 기술을 통한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는 것, 곧 교육이다.

◆ 中 교수들 “통일, 한반도서 끊임없는 노력해야”

이상면 = 주변 강대국들이 한반도의 통일을 진정 바라고 있을까.

리우 후아 주 = 한반도 통일을 원하는 것은 모두 같다. 주변국이 한반도 통일에 미치는 영향을 보자면 2차 세계대전 이후는 입김이 셌다. 그러나 소련의 해체 이후 외부에서 미치는 영향은 많이 감소했다고 본다. 결국 주변 강대국보다 더 큰 문제는 한반도 내부에서의 갈등이라는 것이다.

이상면 = 안중근 의사는 한반도 통일과 평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안중근의 관점에서 한반도의 통일을 본다면.

후앙 푸 민 = 어떤 경우에서도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통일을 이루려 했던 안중근과 한민족에 존경을 표한다. 나는 중국인이기 때문에 평화와 화합을 추구하는 것은 유가사상에 뿌리가 있다고 본다. 한국도 유가사상을 받아들였고,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이라고 본다.

하지만 평화를 사랑한다고 통일도, 평화도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세대 연구를 통한 통일 교육 필요”

이상면 = 독일 통일의 교훈은 ‘국민에서부터 이뤄졌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정부가 통일을 주도하지 않나.

전영선 = 젊은 세대들은 비교적 통일에 대해 중요시 여기지 않는다. 현실적인 문제서 소외돼 있기 때문. 예를 들어 대학 애견과는 30곳이 넘지만 통일학과가 있는 대학은 2개에 그친다. 통일 전문 방송조차 없다. 이 때문이라도 세대마다 맞는 통일 교육이 세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2030 세대는 남북이 분단된 상태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통일 후의 꿈과 희망을 심어주지 않으면 의문을 품게 된다.

◆“종교라는 단어 빌려 폭력·공격해선 안 돼”

이상면 =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종교의 역할은?

키란 발리 = 모든 종교가 평화의 가치에 대해서 말한다. 그러나 종교라는 이름을 빌려 평화를 훼손시키는 것은 종교가 아니다. 어떠한 종교도 적대감, 혐오감을 포함한 공격적인 말과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 종교인들은 어떤 경우라도 평화에 대한 희망을 잃어선 안 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