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은 (사)대한민국역사문화원 원장

▲ 이정은 (사)대한민국역사문화원 원장

1770년대에 들어와 종교로서 가톨릭교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권철신(權哲身)·일신(日身) 형제, 정약전(丁若銓)·약종(若鐘)·약용(若鏞) 3형제, 이벽(李蘗)·이가환(李家煥) 등으로서 경기도 여주군의 주어사(走魚寺)와 광주군의 천진암(天眞庵) 등지에서 강학회(講學會)를 열고 천주교에 대한 연구하면서 기도와 재계 등 천주교 계명의 일부를 실천하기 시작했다.

유교의 나라 조선에서 천주교에 대한 관심은 임진왜란으로 전 국토가 왜군에 유린되어 유교국가의 허상이 깨어진 이후 시작되었다. 그 첫 모습은 서양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다.

1631년(인조 9) 진주사(陳奏使)로서 명나라에 간 정두원(鄭斗源)은 서양신부 로드리게스(Johannes Rodorigue, 중국명 陸若漢)를 만나 화포(火砲)·천리경(千里鏡)·자명종(自鳴鐘) 등의 기구와 천문, 지리 서적과 대포에 관한 기술서적을 얻어가지고 돌아왔다.

그로부터 5년 뒤인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 굴욕적인 항복을 하였을 때 자진하여 인질로 가 9년 동안 청국에 머물렀던 인조의 왕자 소현세자는 1644년 9월 북경(北京)에서 독일인 신부 아담 샬(Schall,J.A., 일명 湯若望)과 친교를 맺고 천주교로 개종하였으며, 천문·수학·천주교 서적과 여지구(輿地球)·천주상(天主像) 등 서양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런 행보가 부왕과의 갈등을 낳고, 귀국한 지 두 달여 뒤인 1645년 4월 26일 병석에 누운 지 4일 만에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이후 수십 년의 간격을 두고 조선 지식인들은 청나라에 와 있던 예수회 선교사들과 접촉하며 서양문물에 눈을 뜨게 되었고, 중국 일변도의 세계관이 변하게 되었다.

▲ 명동 카톨릭성당이 보이는 서울 거리

1770년대에 들어와 종교로서 가톨릭교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권철신(權哲身)·일신(日身) 형제, 정약전(丁若銓)·약종(若鐘)·약용(若鏞) 3형제, 이벽(李蘗)·이가환(李家煥) 등으로서 경기도 여주군의 주어사(走魚寺)와 광주군의 천진암(天眞庵) 등지에서 강학회(講學會)를 열고 천주교에 대해 연구하면서 기도와 재계 등 천주교 계명의 일부를 실천하기 시작하였다.

1784년 봄 이승훈(李承薰)이 동지사 편에 북경으로 가게 된 기회에 그라몽(Grammont, J.J.de, 梁棟材) 신부에게 교리를 배워 세례를 받고, 많은 성서와 성물을 가지고 돌아왔다. 이승훈은 곧 이벽과 더불어 교리를 연구하고, 지금의 명동성당 자리인 명례방의 역관출신 김범우(金範禹) 집에서 신앙집회를 가지기 시작하였다.

이로써 자생적인 평신도의 천주교회가 창설되었다. 1785년 봄 이들의 집회가 관에 알려지면서 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이 일어났다. 형조판서는 사대부 집안 자제들은 돌려보내고 중인이었던 김범우는 단양으로 귀양보냈다.

그는 귀양지에서 죽음으로써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 1791년에는 모친상을 당하고서도 제사를 폐지하고 신주를 불사른 일이 고발되어 진산사건(珍山事件)으로 불리는 신해박해로 윤지충(尹持忠)·권상연(權尙然)이 처형당하였다.

조선의 교인들은 천주교 의식을 완전히 집행할 수 있도록 북경에 밀사를 보내 신부를 보내주도록 요청하였다. 이에 따라 1794년 중국인 신부 주문모(周文謨)가 조선에 파견되었다. 그러나 그의 입국사실이 알려지면서 관헌의 추적을 받아 사목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었다. 1795년 주문모 체포령이 내렸다.

주문모는 피신하고 그 대신 최인길·윤유일·지황 등 3인이 사형을 당하였으며, 이가환(李家煥)·정약용·이승훈 등이 좌천되거나 문초를 받았다. 특히 호서지방과 경기도의 양근·여주지방에서 박해가 심하였다(을묘박해).

그런 속에서도 주문모 신부는 여주·공주·온양·남포 등지를 순회 전교했으며, 교리연구회를 조직하여 교리연구와 전교에 힘쓰게 했다. 이런 노력으로 주문모가 입국할 당시 4천 명이었던 신자수가 6년 사이에 1만 명으로 증가하였다.

이렇게 천주교를 믿는 사람들이 늘어나자 천주교를 공격하는 성토·상소·박해운동이 일어났다. 정조는 적극적인 탄압을 가하지 않았고, 천주교를 신봉하는 양반 남인 시파(時派)의 채제공(蔡濟恭)이 재상으로 있으면서 묵인한 것도 탄압을 받지 않은 요인이었다.

그러나 정조와 채제공이 죽자 벽파는 남인시파를 꺾기 위하여 어린 순조의 수렴청정을 하게 된 정순왕후 대왕대비 김씨를 움직여1801년 천주교를 부모도 임금도 모르는 인륜을 무너뜨리는 종교[滅倫之敎]로 몰아 탄압을 가하였다.

이 신유박해 때 주문모 신부를 비롯하여 이가환·권철신·이승훈·최필공·홍낙민·정약종·홍교만(洪敎萬) 등 초기 지도적 인사들이 대거 서소문 밖에서 참수(斬首)되었고, 내포교회(內浦敎會)의 이존창(李存昌), 전주교회의 유항검(柳恒儉)·관검(觀儉) 형제 등 300여 명이 순교하고, 성서도 대부분 압수되었다. 살아남은 교인들은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의 산간지방, 태백산맥·소백산맥의 심산유곡에 숨어들었다.

오히려 이 때문에 천주교가 전국으로, 그리고 서민사회로 확산되어 뿌리내리게 되었다. 그러자 1815년(순조 15)의 을해박해는 신유박해 때 피신한 교인들을 상대로 경상도와 강원도에서, 1827년의 정해박해는 경상도 일부와 전주를 중심으로 일어났다.

▶ (下)편에 계속됩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