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60주년 기념 및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 비전(8)

▲ 베를린 장벽이 그대로 보존된 독일 베를린 시내의 이스트사이드 갤러리. 세계 21개국의 작가 118명이 벽화를 그려 넣어 조성된 ‘이스트사이드 갤러리’는 매년 5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베를린의 명소가 됐다. (사진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이현정 기자] 1989년 베를린에서 동독과 서독을 나누는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후, 1년 뒤인 1990년 독일의 통일이 이뤄졌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연합국이던 미국,영국, 프랑스, 소련에 의해 강제로 분단된 독일은 통일 후 자주권을 회복해 현재 세계 정상에서 그 영향력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통일 후 20여 년이 흐른 지금, 당시 동독과 서독의 극심한 경제차이와 국민의 과중한 통일세 감당 등이 문제가 돼 준비되지 못한 통일이었다는 질타도 받고 있다. 독일 통일의 여러 긍․부정적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한반도의 준비된 통일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통일 후‘ 완전한 자주권’ 회복한 독일

독일 통일 후 가장 큰 성과로는 ‘완전한 자주권 회복’을 꼽을 수 있다.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은 1990년 독일 통일을 기점으로 ‘2+4’조약으로 불린 ‘독일 통일에 관한 최종 처리 조약’을 이행, 보유하던 모든 권리를 포기했다.

통일 후 세계무대에서 독일의 정치․경제적 영향력도 번창했다. 2008년 독일 GDP는 24억 6900만 유로로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보다 앞섰다. 독일이 통일 후 경제수준이 높아진 이유는 1800만 명의 소비자가 증가해 국내 시장 규모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인프라 구축 및 문화재건으로 정서적 유대감도 회복했다.

◆지역·사회적 갈등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문제 그러나 독일은 통일 후 20여 년이 지난 현재도 동·서 간 지역갈등이 아직 남아 있다. 통일부 통일교육원은 ‘독일통일 20년: 현황과 교훈(손기웅 선임연구위원)’에서 사회통합면에서는 한반도 통일이 독일보다 다소 갈등을 빚을 것이란 전망도 내놨다.

한반도는 60여 년이나 서로 대립해 있었고 대규모의 사상자를 낸 6․25전쟁까지 치루며 적대국으로 살았기 때문이다. 근래에는 ‘연평도 포격사건’ ‘천안함 사건’ 등 북한의 도발도 연이었다.

이러한 상황에 남북의 경제상황도 확연히 차이 나 통일 후 벌어지는 사회적 갈등이나 지역 갈등 등을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문제로 떠오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문제를 비관적으로만 보지 않았다. 손기웅 선임연구위원은 독일도 정치사상이 다른 두 지역이 하나로 합쳐지며 충돌하는 문제를 당연하게 받아들였다고 전했다.

이것이 바로 ‘통일 후유증’인데 이를 비난하기보다 이해와 서로 간의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과 홍보를 실시해 갈등을해소시켜 나갈 것을 권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