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노조가 대규모 구조조정에 반발하면서 시작된 쌍용차 사태가 우려했던 비극적 결말로 치닫고 있다.

5일 현재 쌍용차 평택공장은 경찰병력의 전쟁을 방불케 하는 작전으로 노조의 거점지인 도장2공장을 제외한 나머지 공장 대부분을 경찰이 장악한 상태다.

경찰은 공중에서는 헬기를 동원해 최루액을 뿌리고 지상에서는 고공 크레인을 동원해 중무장한 경찰특공대를 투입시켜 노조원들을 강제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노조원 중 한 명은 경찰의 진압에 밀려 퇴각하다 7미터 아래로 떨어져 중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져 ‘살인진압’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공장에 남아 있는 파업 노조원들도 생존을 위해 화염병과 사제 새총 등으로 방어에 나섰으나 역부족인 나머지 마지막 보루인 도장2공장까지 밀려나 있는 상황으로 알려졌다.

이번 쌍용차 사태는 노사정 누구 하나의 책임이 아니라 삼자 각각 일정 정도의 책임이 있다고 할 것이다.

우선 가장 큰 책임은 정부의 안일하고도 무책임한 태도를 꼽을 수 있다. 정부는 개별 사업체의 파업에 대해 관여할 사안이 아니라며 사측과 노측 당사자들이 풀어야 할 숙제라고 한발 물러선 형국이다.

한나라당과 정부가 민생을 직접 챙기겠다던 모습이 과연 노사가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현장에 찾아오지도 않고 일언반구도 하지 않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아현 재래시장이나 문정동 비닐하우스촌 등은 민생으로 책임질 가치가 있고 쌍용차는 가치가 없는 딴나라 이야기로 모른척 해도 되는 문제냔 말이다.

사측의 태도도 문제의 소지가 많다. 사측은 노동자들의 일방적 희생만을 강요하는 감원에만 혈안이 돼 대화의지가 없었던 것 아니냐는 비난을 불러왔다. 감원 이외의 대안은 전혀 제시하지 않은 것이다.

노조 측 역시 자신들의 생존권만 내세우고 협력업체들의 생사에는 관심이 없는 듯했다. 얼마전 법원은 근로자 감원이라는 전제 하에 기업을 유지하는 가치가 청산하는 가치보다 크다는 결정을 내린 바 있다.

그렇다면 노조 역시 일정 정도 희생을 감수하고라도 회사를 살리는 데 협조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되어야 마땅하지만 ‘총고용’이라는 원칙만 고수한 것이 쌍용차 사태를 더 꼬이게 만들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번 쌍용차 사태는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대화의 기술 부족과 의사소통 부재라는 고질적 문제를 극명하게 보여준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사회 구성원들 간의 상호신뢰와 배려하는 자세이며 이 길이 상생의 길인 동시에 탈출구라고 본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