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이승연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방송사업자와의 협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직도 미미한 스마트TV 생태계를 키우기 위해서다.

이에 제조사들은 자사의 스마트TV에 방송 서비스를 애플리케이션(앱) 형태로 탑재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적극 협력을 이뤄가고 있다. 변화하는 TV 시장에 대비하고, 한계에 부딪힌 가입자 창출의 탈출구를 모색해야 하는 방송사업자 입장에서도 싫지 않은 제안이다.

◆IPTV 사업자와 셋톱없는 스마트TV 출시 준비 척척

최근 TV제조사와 IPTV 사업자들은 이 같은 목적 아래 ‘셋톱박스 내장형 스마트TV’ 출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셋톱박스(방송 수신기)를 없애 IPTV 사업자의 비용부담을 줄이면서, 제조사는 콘텐츠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선택한 것이다.

LG유플러스는 이를 위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소프트웨어 셋톱박스’ 인증을 위한 테스트를 완료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올 초 신설한 소프트웨어 셋톱박스 인증은 기존 단말기 형태의 셋톱박스를 소프트웨어로 대신할 수 있는 기술 인증체계다.

이 기술을 이용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셋톱박스 내장형 스마트TV를 생산하면, LG유플러스는 여기에 자사의 IPTV 서비스를 앱 형태로 제공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향후 스마트TV 구매고객은 IPTV를 보기 위해 따로 셋톱박스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용을 원하면 스마트TV에서 바로 IPTV 앱을 내려받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료로 제공될 앱의 가격은 기존 IPTV 가입가격보다는 저렴할 전망이다. 이미 IPTV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이라면 셋톱박스 일체형 스마트TV를 장만하면 추가 비용 없이도 앱을 내려받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빠르면 2분기 중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TV를 선보일 계획이다.

SK브로드밴드 역시 LG유플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서비스 출시를 위해 삼성‧G전자와 제품 개발을 추진 중 이다. SKB 역시 셋톱박스 내장형 스마트TV에서 앱 내려받기를 통해 자사의 IPTV 서비스를 이용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SK브로드밴드(SKB) 관계자는 “제품 출시를 위해 계속해서 제조사와 논의 중”이라며 “지금 당장 스마트TV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폭발적이진 않기 때문에 고객들에게 어떤 부분이 필요한지 시장상황을 더 지켜보면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제품 출시는 3분기 정도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그는 “향후 스마트TV 시장은 셋톱박스가 TV에 내장된 형태가 주를 이룰 것”이라며 “따라서 이런 서비스는 방송사업자가 가입자 유치하던 기존 방법 외에 새롭게 가입자를 늘릴 수 있는 창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향후 망중립성 이슈 불거질 듯

제조사들은 IPTV뿐 아니라 지상파와도 유사한 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지난달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지상파 N스크린 서비스 ‘푹(pooq)’을 향후 출시되는 스마트TV에서 앱 형태로 제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케이블TV 업계와도 지난해부터 협의를 진행 중이다.

제조사와 방송사 간 이런 움직임이 활발해질수록 ‘망중립성’ 이슈도 다시 불거질 전망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통신사들은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이런 서비스로 인해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해 ‘데이터 블랙아웃’이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KT는 지난해 이런 이유로 삼성전자에 문제 제기를 하면서 망사용 대가를 요구했고, 이 때문에 망중립성 문제가 대두됐었다.

업계 한 전문가는 “아직은 스마트TV가 활성화되지는 않았기 때문에 망 부하에 얼마나 영향을 끼칠지 확신할 수는 없다”며 “하지만 향후 시장이 확대되고, 데이터를 이용하는 스마트TV 콘텐츠가 늘어난다면 망중립성을 둘러싼 갈등은 반드시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