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쓰레기 종량제’ 전국 확대 앞두고 점유율 신경전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의 한 아파트 주민들이 LG유플러스의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비인 스마트 크린을 이용해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고 있다. (사진제공: LG유플러스)

[천지일보=이승연 기자] 해마다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 쓰레기통’ 사업을 두고 올해 KT와 LG유플러스의 경쟁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내년부터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도가 전국 지자체 144개에 의무 적용되기 때문이다.

지자체들은 종량제 시행을 위해 올해 연말까지 ▲종량제 봉투 ▲납부칩(스티커) ▲RFID(전자태그) 기반 시스템 등 세 가지 방법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 2016년부터는 종량제 봉투 방식은 제외된다. 이에 따라 이통사가 눈독을 들이고 있는 RFID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관리시스템(스마트 쓰레기통)’ 시장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 ⓒ천지일보(뉴스천지)
환경부는 지난해 21개 지자체에만 RFID 방식을 이용했지만 올해는 64개, 2015년에는 115개까지 이 방식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음식물쓰레기 관리시스템’은 내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음식물 종량제를 위한 솔루션제공 사업이다. 해당 시스템이 구축된 지역에서는 거주자가 RFID인식기가 부착된 음식물쓰레기통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다.

사용방법은 간단하다. 거주자가 배급받은 RFID카드를 쓰레기통에 인식시키면 뚜껑이 열리고, 음식물쓰레기를 버린 후 다시 카드를 인식시키면 투입구가 닫힘과 동시에 자신이 버린 쓰레기의 무게와 요금이 표시된다. 또한 이 정보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중앙시스템으로 전송된다.

KT와 LG유플러스는 3000억 원 규모로 예상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장에 일찌감치 뛰어들어 경쟁을 벌이고 있다. 비(非)통신 분야에서 성과 창출이 보장될 뿐 아니라 최근 강조되는 ‘동반성장’의 효과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자체 입찰을 따내기 위해 10여 개의 중소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하기 때문에 상생 효과가 크다는 분석이다.

지금까지의 경쟁에서는 LG유플러스가 앞서고 있다. 2010년부터 해당 사업을 선보인 LG유플러스는 현재까지(2012년 말 기준) 수원 등 15개 지자체에서 입찰을 따냈다. 또한 2011년에는 KT를 제치고 행정안전부와 환경부가 뽑은 시범사업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KT는 지난해까지 파주시, 용인시 등 11개 지자체에서 20만 가구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는 정부가 종량제를 전국으로 확대함에 따라 두 사업자 모두 더 적극적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갈계획이다. KT는 “경쟁사 대비 KTits를 활용한 전국 현장 유지보수체계의 우수한 장비품질, 통신인프라를 갖췄다는 장점이 있다”며 “올해는 전체 시장점유율 3분의 1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스템 고도화, 주민설명회 등 아낌없는 투자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그간 사업경험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올해 예상되는 400억 원 규모에서 300억 원가량의 사업을 얻어내는 것이 목표”라며 “통신기술 고도화와 유지관리 시스템 지원 등으로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해 대민 서비스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