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송범석 기자]

“아무리 커다란 운석이 부딪친 자리도
얼음이 녹으며 차올라
거짓말처럼 다시 둥글어지는,
거대한 유리알같이 매끄러워지는
에우로파, 얼어붙은 에우로파
너는 목성의 달
내 삶을 끝까지 살아낸다 해도
결국 만질 수 없을 차가움” (<에우로파> 중에서)

1993년 등단한 이래 줄곧, 삶의 근원에 자리한 인간 본연의 고독과 고통,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실에의 추구와 삶을 향한 의지를 특유의 단단하고 시정 어린 문체로 그려온 작가 한강이 <내 여자의 열매> 이후 무려 12년 만에 세 번째 소설집 <노랑무늬영원(문학과지성사, 2012)>을 출간했다. 작가가 2002년 여름부터 일곱 달에 걸쳐 쓴 중편 <노랑무늬영원>을 포함해 2012년 여름에 이르도록 쓰고 발표한 총 7편의 작품을 묶은 이번 소설집이 갖는 의미는 남다르다.

수십 번 계절이 바뀌는 동안 존재의 근원과 실재 세계를 탐문하는 작가의 온 힘과 온 감각이 고통 속에 혹은 고통이 통과한 자취에 머물렀고 그 결과로 우리는 장편소설 <그대의 차가운 손(2002)>, <채식주의자(2007)>, <바람이 분다, 가라(2010)>, <희랍어 시간(2011)> 등과 마주할 수 있었다. 그러는 중에 각각의 장편들과 긴밀하게 연결되고 조응하는 중편과 단편들이 씌어졌고 고스란히 소설집 <노랑무늬영원>에 담겼다.

“막 소설 한 편이 끝나려고 할 때,
괄호 속에 들어가 있던 모든 것이 둑을 넘듯 조용히 몸속으로 다시 흘러 들어올 때,
언제나 나는 더 머뭇거리고 싶어진다.
더 쓰고 싶어진다. 더 숨을 불어넣고 싶어진다.” (한강)

“두 눈을 시큰하게 하는 빛, 생리적인 눈물이 고이게 하는 빛, 어른어른 마성이 피어오르는 빛”(「훈자」) 속을 달리며 액셀과 브레이크를 교차로 밟고, 욕설과 기도를 절반씩 섞어 뇌까리는 당신이 “내가 경멸하고 혐오하는 것은 내 삶이야”(「훈자」)라며 스스로를 거칠게 몰아세우면서도 잊지 않는 것은 “제발, 잘못되지 말아줘”라는 당부이다. 화자가 습관처럼 떠올리고 그 미명에 붙들리게 되는, 천 년 전에 멸망한 산간 지방의 오지, 훈자도 실은 파노라마처럼 이어지는 해독 불가의 문자나 되풀이하고 싶지 않은 악몽, 상상 속 고통의 다른 이름이다.

오랜 기억 속의 풀리지 않는 의문들 앞에서 “끈덕지고 뜨거운 그 질문들을 악물고 새벽까지 뒤척”(「회복하는 인간」)이는 당신이 “그 어떤 것으로부터도 회복되지 않게 해달라고” 입속으로 되뇌는 중얼거림 역시 역설적으로 회복된 생을 갈구하기는 마찬가지다.

때로는 “격렬한 감정들의 파고”(「노랑무늬영원」)를 타고 넘으면서 작가 한강은 ‘살고 싶다, 살아야겠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 하나를 꽉 쥐고 놓지 않는다.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훼손된 신체의 일부가 압도하는 삶의 나락(「왼손」)에서, 비껴간 인연의 운명에서, 영원히 묻히고 말 기억에서, 파란 물속 같은 꿈에서 “부서진 두 손으로” 한강이 길어 올리는 것은 앞으로 조금씩 나아가는 재생의 의지와 절망 속에서 더 뜨겁게 타오르는 강한 생명력이다.

강하게 빛나는 불순물 없는 노랑을 좇아 겹쳐놓은 한지에 물감을 찍듯, 한강의 문장은 “한순간의 빛, 떨림, 들이마신 숨, 물의 정적”을 원고 위에 재현한다. 그게 과연 가능할까, 하는 질문을 비웃기라도 하듯 경험과 관념을 압도하는 작가의 직관은 물감이 올올이 종이의 결 속으로 스미듯 독자인 우리에게 전해진다. 삶과 죽음의 경계, 인간의 광기와 욕망의 실체, 존재론과 예술론에 대한 작가의 오롯한 응시는 치열한 사유와 식물적 상상력 그리고 섬세한 언어 탐구까지 더해져, 시적이고 직관적이며 밀도 높은 한강만의 ‘소설 미학’을 더욱더 단단하게 하고 있다.

한강 지음 / 문학과지성사 펴냄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