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송범석 기자] 이순원의 <고래바위>는 고향 마을 큰 산에 실제로 그리고 지금도 존재하는 ‘고래바위’에서 시작되었다. 작가 이순원은 어린 시절 ‘고래바위’에 올라 앉아 고래를 타는 꿈을 꾸었다. 그리고 생각했다. ‘산 위에 있는 고래 바위가 어떻게 바다에 가서 바다의 고래를 만날 수 있을까?’ 소년 이순원의 호기심이 작가 이순원의 상상력을 빌려 ‘고래바위’의 전설을 만들었다.

거대한 바위가 어떻게 바다로 갈 수 있을까? 인간의 힘으로는 상상하기도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자연을 한번 들여다보면 바위가 부서지고 깨져서 돌멩이가 되고 모래가 되고 먼지가 되는 일은 늘 일어나는 일이다.

지구 역사에서는 대륙이 이동해왔고 우주 역사에서는 별이 만들어지고 사라지기도 한다. 자연에서는 일상적인 일이 인간에게는 그저 기적과 같은 일이다. 작가는 거대한 고래바위가 한 알의 명개흙이 되어 바다에 이르는 험난하고 긴 여정을 아주 쉽고 담백하고 정직하게 들려준다. 바위와 동물을 의인화한 우화의 세계에 ‘정직’하다는 수식어를 붙이게 되는 이유는 자연과 삶을 대하는 작가의 태도 때문이다.

이순원이 보여주는 바위의 삶은 환상적이고 동화적인 세계가 아니라, 기쁨과 슬픔이 공존하는 자연스런 삶의 세계다. 거대한 바위가 한 알의 명개흙이 되려면 얼마의 시간이 필요할까? 도대체 몇 번이나 깨어지고 부서져야 할까? 그때마다 바위는 얼마나 아팠을까? 깨어지고 부서지면서도 바위로 산다는 것의 기쁨은 또 무엇일까?

그 오랜 시간 동안 바위는 누구를 만나 무엇을 이야기하고 어떤 꿈을 꾸었던 걸까? 작가 이순원이 들여주는 고래바위의 여정은 우주 어디에서나 일어나고 있는 개인의 꿈과 삶과 행복에 관한 이야기인 것이다.

작가 이순원은 자연과 성찰이라는 치유의 화법으로 우리의 양심과 영혼을 치유해왔다. 자연과 삶에 대한 그의 정직한 성찰은 <고래바위>를 읽는 내내 한 구절, 한 구절을 음미하게 만든다. 예컨대 ‘이 세상에 모든 물은 흘러 흘러 바다로 모인다’, ‘바위 위에 실처럼 가는 금이 가기 시작했다’ 등 겉으로 보기엔 너무나 당연하고 정직한 구절들이 독자들의 마음을 붙잡는다. 모든 물이 바다로 가고 있음을 우리에게 다시 일깨워주기 때문이다.

인간의 힘으론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단단한 바위도 자연의 섭리에 따라 금이 가고 부서지고 깨어진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일깨워주기 때문이다. 작가는 자연으로부터 삶의 의미를 정직하게 읽어내고는 우리에게 말한다. 우리는 모두 자연으로 돌아간다고.

‘고래바위’라는 제목만 보아도 그의 지혜와 통찰력이 모두 자연에서 온 것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바위에 이름을 지어주고 생명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은 아마도 아주 오래된 영혼을 지닌 사람일 것이다. 이순원의 <고래바위>를 읽으면 아주 오래된 영혼을 가진 사람의 지혜와 사랑의 향기를 맡을 수 있다. 그리고 그의 말대로 어쩌면 고래바위를 비롯한 모든 바위는 바다로부터 온 것일지도 모른다.

물론 고래바위의 꿈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고래바위가 거대한 몸집 그대로 바다로 가려고 했다면 영원히 그곳에 머물러야 했을 것이다. 고래바위에서 너럭바위로, 너럭바위에서 뾰족바위로, 뾰족바위에서 징검돌로 욕망을 버리고 마음을 비우며 고래의 꿈을 잊지 않았기에 명개흙이 되어 바다를 품에 안을 수 있었다.

이순원 지음 / 북극곰 펴냄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